숲향 글향이 있는 산방

산을 걷고 길을 걸으며 세상을 배웁니다

향 곡 산 방 ( 鄕 谷 山 房 )

2023/01 7

운길산 / 한강 두물머리 들목에 우뚝 솟은 산

운길산(雲吉山. 610m) 한강 두물머리 들목에 우뚝 솟은 산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운길산역 - 유기농대회정 - 수종사 - 절상봉(522) - 운길산 - 새재고개 - 도곡3리 버스종점 이동거리 10.3㎞. 이동시간 5:08. 휴식시간 1:28. 계 6:36. (2023.1.30. 맑음. -4.4~4.2℃) 한강 두물머리에서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난다. 서울로 들어오는 강물은 이로부터 하나가 된다. 운길산은 두물머리 그 들목에 우뚝 솟아 있다. 처음에는 새벽산이었다가 조곡산(早谷山)이 되었고, 그 산에 아침 해가 뜰 때 구름이 상서로워 운길산(雲吉山)으로 고친 모양이다. 이곳에서 바라보는 풍경은 참으로 아름답다. 운길산역에서 내려 수종사 표시판을 따라 길을 잡는다. 정자를 지나 소나무 숲에 들어서면 산 아..

회초리 나무 / 싸리와 물푸레나무

회초리 나무 싸리와 물푸레나무 초등학교 2학년 때 담임선생님이 숙제를 안 한 학생은 앞으로 나오라 하였다. 종아리를 걷으라 하고 먼지떨이로 쓰는 대나무 회초리를 들었다. 그런데 한 친구는 담임이 아버지였다. 선생님이 아들을 보더니 갑자기 화가 났다. 다른 학생보다 더 많이 더 세게 때렸다. 매를 맞은 친구는 "아버지, 다시는 안 그럴게요" 하며 도망을 갔다. 교실에서 아들이 도망가고 선생님은 오라 하고 잠시 소란이 일어났다. 다소 감정이 들어간 회초리였다. 회초리로 싸리를 많이 쓴다. 싸리는 주변에 많아서 사립문이나 빗자루, 광주리 등 생활용품을 만든 나무였다. 싸리는 줄기가 곧고 단단하다. 그래서 회초리로 썼는데, 종아리에 맞으면 자국이 날 정도였다. 싸리 회초리로 맞고 장원급제한 선비는 귀향하며 싸리..

남한산성과 봉암성에서 보는 겨울 / 세상은 눈 속에

남한산성 21 남한산성과 봉암성에서 보는 겨울 세상은 눈 속에 남한산성 중앙주차장 - 현절사 - 북문 갈림길 - 동장대 - 동장대 암문 - 남한산(522.1) - 15 암문 - 벌봉(512.2) - 동장대 암문 - 현절사 갈림길 - 현절사 - 중앙주차장 이동거리 4.7㎞. 이동시간 2:09. 휴식시간 0:44. 계 2:53 (2023.1.18. 맑음. -2~2℃) 남한산성에 올라갔다. 산 아래와 다르게 내린 눈은 그대로 남아 있다. 소나무는 눈을 머리에 이고 있고, 바닥에 눈은 신을 덮지 않을 만큼 쌓였다. 겨울에는 태양의 고도가 낮은 대신 햇빛이 비스듬히 통과한다. 거기에 산 높은 곳은 기온이 낮아서 햇빛이 공기층을 통과하면서 열에너지를 더 많이 뺏으니, 바닥까지 내려오는 열기는 적어서 눈이 녹지 못한..

추운 날의 벗 '세한삼우(歲寒三友)'

추운 날의 벗 '세한삼우 (歲寒三友)' 소나무(松), 대나무(竹), 매화나무(梅) 연초에 날이 차다. 집 앞 소나무에도 눈이 내리고 세상이 하얗다. 추운 날의 벗, 세한삼우가 있다. 겨울 추위에도 보기 좋은 세 가지인 소나무(松), 대나무(竹), 매화나무(梅)를 이른다. 세한삼우는 중국 송나라부터 유행하였다. 매화 대신 국화를 넣어 송죽국(松竹菊)으로 삼기도 하고, 송나라 시인 소동파(蘇東坡)는 소나무 대신에 돌을 넣어 매죽석(梅竹石)을 세한삼우라 하였다. 고려나 조선시대에 셋을 한목에 소재로 삼지는 않았지만, 각각은 인내와 절개, 지조와 품격을 상징하여 글이나 그림 소재로 많이 썼다.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가 그린 세한도(歲寒圖)에는 소나무가 나온다. 논어에 나오는 '날씨가 차가워진 후에야 송백(松..

2022년 '올해의 꽃'

2022년 '올해의 꽃' 우리가 꽃을 보는 것은 계절이 돌아오면 꽃은 생명의 힘을 다하여 어김없이 꽃을 피운다. 꽃에는 이미 아름다움이 그 안에 있어 아름답지 않은 꽃은 이 세상에 없다. 우리가 꽃을 보는 것은 자연을 내 안에 채워 마음을 넉넉하게 하는 것이다. 우리가 꽃을 보는 것은 마음에 꽃등을 켜서 마음을 향기롭게 하는 것이다. ▲ 풍도대극 (대극과) : 풍도에서 발견된 붉은대극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풍도 이외 지역에서도 발견되며 붉은대극과 통합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주장도 있다. 풍도 산 능선에서 볼 수 있다. 잎이 붉게 변한 것도 있다. ▲ 풍도바람꽃 (미나리아재비과) : 풍도에서 발견한 바람꽃. 따로 구분하지 않고 변산바람꽃의 변이로 보기도 한다. 들여다보니 꽃술은 변산바람꽃과 차이가 없다...

서달산 숲길 / 사육신묘에서 서울현충원까지

서달산 숲길 사육신묘에서 서울현충원까지 서울 동작구 사육신묘 - 노들역 - 노량진 근린공원(고구동산) - 중앙대 후문 - 서달산 자연생태 탐방로 - 정자(동작대) - 서울현충원 상도문 - 서울현충원 정문 이동 거리 7.8㎞. 이동 시간 2:54. 휴식 시간 1:09. 계 4:03. (2023.1.7. 흐림. -. 1.4~3.8℃) * 서달산 : 해발 179m 서달산은 서울현충원 뒤에 있는 작은 산이다. 서달산 숲길을 걷기 위해 노들역에서 내렸다. 노들은 백로가 놀던 들이요 수양버들이 많아서 부르던 이름으로 지금 한강인도교 부근이다. 그 앞 강은 노들강이고, 나루는 노들나루였다. 노들나루는 한자로 옮기면서 노량진(鷺梁津)이라 하였다. 예전에 용산에서 수원으로 가는 나루는 현재 동작역 부근이다. 그곳은 구리..

오래 사는 나무

오래 사는 나무 나이에 당당하다 나무마다 성질이 있어 좋아하는 토양이 있고, 좋아하는 위치가 있고, 좋아하는 기후가 있다. 나무들은 대체로 그런 환경에서 자리 잡고 산다. 나무는 그렇게 한번 자리를 잡은 곳에서 평생을 살아간다. 어떤 자연 재난이 오더라도 그저 살아갈 뿐이다. 그런 나무 중에서도 오래 사는 나무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아주 오래 사는 나무들 수령은 대략 1100~1300년 정도 된다. 대체로 빨리 자라는 나무는 수명이 짧고, 더디게 자라는 나무는 수명이 길다. 우리 주변에서 아주 오래 살아 친근한 나무로는 은행나무, 느티나무, 팽나무, 주목, 향나무가 있다. 그 밖에도 소나무, 이팝나무, 곰솔, 잣나무, 메타세쿼이아, 회화나무, 버드나무, 느릅나무, 굴참나무, 서어나무, 음나무, 밤나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