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향 글향이 있는 산방

산을 걷고 길을 걸으며 세상을 배웁니다

향 곡 산 방 ( 鄕 谷 山 房 )

자연의 향기/숲향 이야기

가을에 남한산성에서 피는 들꽃 1 꿀풀과 식물. 오리방풀과 꽃향유 외

향곡[鄕谷] 2022. 11. 1. 12:57

가을에 남한산성에서 피는 들꽃 1. 꿀풀과 식물

오리방풀과 꽃향유 외

 

* 들깨, 들깨풀, 익모초, 송장풀, 오리방풀, 산박하, 방아풀, 박하, 자주방아풀, 쥐깨풀, 석잠풀, 층층이꽃, 향유, 꽃향유, 배초향

 

 

가을꽃은 봄과 여름에 피는 꽃들이 다 피고 나서 진득하게 기다렸다 피는 꽃이다. 낮은 풀밭에 이곳저곳 꿀풀과 꽃들이 많다. 꿀풀과는 국내에서 자생하는 꿀풀에서 유래한 과명이다. 꿀풀, 광대나물, 조개나물은 봄에 피었다가 여름이 다 가기 전에 열매를 맺는다. 송장풀이나 석잠풀, 들깨풀은 여름에 낮은 곳에서 볼 수 있고, 벌깨덩굴과 용머리는 여름에 습기 있는 낙엽수림이나 계곡 가장자리나 산속에서 만날 수 있는 꿀풀과 꽃이다. 봄이 지나며 여름까지 산지 가장자리 그늘진 곳에서는 광대수염을 만날 수 있는데, 깻잎을 닮은 잎에 우스꽝스러운 분장을 한 수염을 하고 나타난다. 남한산성에서 가을에 보는 꿀풀과 꽃은 여름에 진작 피었던 것도 있고, 가을에 새로 피는 것들도 있다. 박하, 향유, 꽃향유, 배초향, 속단, 쉽싸리는 다른 식물들과 어울려서 핀다. 가을에 보는 꿀풀과 식물은 보랏빛이나 연한 분홍빛을 띤  것이 많다. 

 

 

 

들깨 (꿀풀과. 2020.9.10)

▲들깨(꿀풀과) : 야생의 것으로 품질이 떨어지는 깨란 의미이다. 8~9월에 꽃이 피는 한해살이풀로 동남아 원산으로 재배식물로 들어온 것이다. 깨라 하면 참깨와 들깨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예로부터 잎과 열매를 식용하였다.

 

 

 

 

들깨풀 (2022.11.19)

▲ 들깨풀 (꿀풀과) : 들깨풀이란 이름은 들깨를 닮은 이름에서 유래했다. 줄기잎을 약용하고 어린잎을 식용했다. 쥐깨풀에 비해 잎이 난형이고 꽃받침 끝이 뾰족한 점이 다르다.

 

 

 

익모초 (꿀풀과. 2020.9.15)

▲ 익모초(꿀풀과) : 여성에게 좋은 풀이란 뜻으로 두해살이풀이다. 송장풀에 비해 잎에 깊은 결각이 있고 꽃이 매우 작은 점이 다르다.

 

 

 

송장풀 (꿀풀과. 2019.9.11)

▲ 송장풀(꿀풀과) : 된장이 조금 썩는듯한 냄새가 나고 꽃이 반쯤 벌린 속에 흰색에 붉은 줄이 송장을 연상시킨다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오히려 솜과 비슷하여 솜풀이 되어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익모초에 비해 잎에 깊은 결각이 없고 꽃이 큰 점이 다르다.

 

 

 

오리방풀 (꿀풀과. 2019.9.9).

▲ 오리방풀(꿀풀과) : 잎 끝이 긴 것을 오리에 비유하고 방아풀을 닮은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어린 잎을 식용하고 잎을 향신료로 이용하였다. 산박하에 비해 잎 끝 가운데 갈래가 꼬리처럼 긴 점이 다르다.

 

 

 

산박하 (꿀풀과. 2019.9.11)

▲ 산박하(꿀풀과) : 산에서 나는 박하 종류란 뜻의 이름이다. 그러나 사실 아무런 향기도 나지 않는다. 어린 잎을 나물과 국거리로 이용했다. 방아풀에 비해 잎이 삼각형 난형이고 수술과 암술이 화관 밖으로 나오지 않는 점이 다르다. 줄기는 네모지고 잎 양면 맥 위에 털이 약간 있다.

 

 

 

방아풀(꿀풀과.2020.9.15)

▲ 방아풀(꿀풀과) : 방아풀이란 이름은 한자명 박하(薄荷)를 향명으로 발음이 비슷한 방하(芳荷)로도 표기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한다. 전초를 약용하고 어린잎을 식용했다. 식물에서 독특한 향기가 나기 때문에 박하를 일컫는 이름과 혼용한 것으로 본다. 산박하에 비해 잎이 넓은 난형이고 암술과 수술이 화관 밖으로 나오는 점이 다르다.

 

 

 

박하(꿀풀과. 2020.10.12)

▲ 박하(꿀풀과) : 한자명 박하(薄荷)에서 유래했고, 박하는 산스크리트어 파하에서 유래했다. 잎과 줄기를 약용했다. 전체에서 특유의 박하향이 나고 꽃이 잎 겨드랑이에서 층층이 돌려나는 것이 특징이다.

 

 

 

자주방아풀 (꿀풀과. 2023.10.4)

▲ 자주방아풀(꿀풀과) : 전체적으로 자주색이 강하게 도는 방아풀이란 뜻에서 유래한다.

 

 

 

쥐깨풀(꿀풀과. 2021.10.15)

▲ 쥐깨풀(꿀풀과) : 들깨풀을 닮았는데 식물체가 작고 볼품없다는 뜻에서 유래한다. 들깨풀에 비해 잎이 사각모양 난형이고 털이 거의 없으며 꽃받침의 끝이 둔한 점이 다르다. 어린잎은 식용했다.

 

 

 

석잠풀(꿀풀과. 2020.9.25)

▲ 석잠풀(꿀풀과) : 땅속에 누에 모양 덩이줄기가 달려서 석잠(石蠶)이라 하는 것에서 유래한다. 잎자루가 있고 마디 외에는 털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층층이꽃(꿀풀과. 2020.9.17)

▲층층이꽃(꿀풀과) : 꽃이 층층이 달린다는 뜻을 가진 이름이다. 두메층층이에 비해 꽃이 작고 꽃받침에 샘털이 없으며 포엽이 긴 점이 다르다.

 

 

 

향유 (꿀풀과. 2020.10.5)

▲ 향유 (꿀풀과) : 향기가 강하고 부드러운 풀이라는 한자명에서 유래하였다. 오래전부터 전초를 약용하였다. 꽃향유에 비해 꽃이 매우 작고 색이 연한 점이 다르다.

 

 

   

꽃향유(꿀풀과.2021.10.16)

▲ 꽃향유(꿀풀과) : 향유에 비해 꽃이 크고 아름답다는 뜻을 가진 이름이다. 향유에 비해 꽃이 크고 짙다.

 

 

 

배초향(꿀풀과. 2020.10.12)

▲ 배초향(꿀풀과) : 한자명 배초향(排草香)이 어원으로 다른 풀을 물리치는 향기를 가진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향유나 꽃향유에 비해 꽃이 사방으로 피는 점이 다르다. 지역에 따라 잎 모양에 변이가 심하게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