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짚어보는 명산 명소
3대 계곡(남한)
1. 천불동계곡 / 설악산 / 연봉과 기암괴석이 보살이 기도하는 모습같다 하여 붙인 이름
2. 칠선계곡 / 지리산 / 지리산 계곡중 험하며 아름다운 명소가 많음
3. 탐라계곡 / 한라산 / 기암괴석이 풍상을 겪은 형상이 아름다움
3대 기악(기묘한 산)(남한)
1. 청량산(870.4m) / 경북 봉화,안동 / 선조의 행적이 많은 산,기이하고 빼어난 산세
2. 주왕산(720.6m) / 경북 청송,영덕 / 바위병풍 산세,수직단애와 폭포
3. 마이산(678m) / 전북 진안 / 세계 유일 부부봉,음양이 조화를 이루는 역암
3대 폭포(瀑布)
1. 구룡폭포(九龍瀑布) / 금강산
2. 박연폭포(朴淵瀑布) / 천마산(개성)
3. 대승폭포(大乘瀑布) / 설악산
※ 4대 폭포로 백두산 비룡폭포(일명 장백폭포)를 넣는다
삼보사찰(三寶寺刹)
1. 양산 통도사 : 부처의 법신(法身)을 상징하는 진신사리를 모시고 있는 불보사찰
2. 합천 해인사 : 부처의 가르침을 집대성한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을 모신 법보사찰
3. 승주 송광사 : 16명의 국사를 배출한 승보사찰
서울 내사산(內四山) 외사산(外四山)
내사산 : 북악산(342m)-북
인왕산(338.2m)-서
남산(262m)-남
낙산(111m)-동
외사산 : 북한산(836.5m)-북
관악산(629.1)-남
아차산(285m)-동
덕양산(124.8m.행주산성)-서
5악(五嶽)
우리나라 동 ·서 ·남 ·북 · 중앙을 대표하는 5개 산을 말한다. 이는 오행사상(五行思想)에서 비롯되었으며, 오악에는 나라의 수호신(守護神)이 거처하는 성산(聖山)으로 여겼다.
1. 북악. 백두산 (장군봉.2744m) /양강도/민족의 영산
2. 남악. 지리산 (천왕봉.1915.4m) / 전북,전남,경남/장엄미의 대표산
3. 동악. 금강산 (비로봉.1638m) / 강원도/천하절승 기암괴봉
4. 서악. 묘향산 (비로봉.1909m) / 평남,평북,자강도/조각미와 장엄미
5. 중악. 북한산 (백운대.836.5m) / 서울,경기도/나라 중심, 나라의 표상
남한 5악
1. 설악산(1708m) / 강원도 인제,양양,속초,고성 / 공룡,용아능선의 장관,수려한 계곡
2. 치악산(1288m) / 강원도 원주,횡성 / 사계절 산행지,정상 돌탑 명물
3. 삼악산(645m) / 강원도 춘천 / 암릉과 폭포의 조화,정상 조망
4. 운악산(935.5m) / 경기도 포천,가평 / 기암과 폭포가 있는 골산
5. 월악산(1097m) / 충북 제천 / 충주호가 보이는 암릉미
경기 5악
1. 서울 관악산(629.1m) / 역사에 등장하고 선인들이 자주 찾던 암산
2. 개성 송악산(489m) / 감악산 정상에서 바라보면 멋진 하늘금이 보인다
3. 가평 화악산 (1468.3m) / 한북정맥 최고봉,경기도 최고봉
4. 파주 감악산(675m) / 바위와 계곡이 어우러진 아담한 산
5. 포천 운악산 (935.5m) / 기암과 폭포로 이루어진 암산
북한 5대 명산
1. 백두산(2744m) / 양강도
2. 묘향산(1909m) / 평남,평북,자강도
3. 금강산(1638m) / 강원도
4. 구월산(954m) / 황해남도
5. 칠보산(906m) / 함경북도
적멸보궁 7곳
적멸보궁이란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한 곳이며, 불상 봉안 없이 불전만 두고 있다.
1. 설악산 건봉사 /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냉천리 / 1989년부터 개방
2. 설악산 봉정암 /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 설악산에서 가장 오래된 절
3. 오대산 월정사 중대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4. 함백산 정암사 /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5. 백덕산 법흥사 /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법흥리
6. 영취산 통도사 / 경남 양산시 하북면 조산리
7. 금정산 삼광사 / 부산시 부산진구 초읍동
※ 1~6 절은 신라 선덕여왕과 진덕여왕 때(643~647년) 자장율사가 세웠으며, 2~6 절에 있는
적멸보궁을 5대 적멸보궁이라 부른다. 삼광사는 1969년 창건한 불교 천태종 소속 종단이며
티베트,미얀마,인도에서 가져온 석가세존 진신사리 10과를 봉안하고 있다.
남한 높은 산 10
1. 한라산 백록담 서벽(1950.1) / 제주
2. 지리산 천왕봉(1915.4) / 전북 남원,전남 구례,경남 하동,산청,함양
3. 설악산 대청봉(1708) / 강원 인제,양양,속초,고성
4. 덕유산 향적봉(1614) / 전북 무주,장수,경남 거창,함양
5. 계방산(1577.4) / 강원 평창,홍천
6. 함백산(1572.9) / 강원 태백,정선
7. 태백산 장군봉(1566.7) / 강원 태백,경북 봉화
8. 오대산 비로봉(1563.4) / 강원 평창,홍천,강릉
9. 가리왕산(1560.6) / 강원 평창,정선
10. 화악산 신선봉(1468.3) / 경기 가평,강원 화천
※ 북한에는 한라산 보다 높은 산이 58개가 있다.
10개 강과 분수계
1. 두만강(521㎞) : 장백정간,백두대간
2. 압록강(790㎞) : 청북정맥,백두대간
3. 청천강(199㎞) : 청북정맥,청남정맥
4. 대동강(439㎞) : 청남정맥,백두대간,해서정맥
5. 예성강(174㎞) : 해서정맥,임진북예성남정맥
6. 임진강(254㎞) : 임진북예성남정맥,백두대간,한북정맥
7. 한강(514㎞) : 한북정맥,백두대간,한남금북,한남정맥
8. 금강(401㎞) : 금북정맥,한남금북,백두대간,금남호남,금남정맥
9. 섬진강(212㎞) : 호남정맥,금남호남,백두대간
10.낙동강(525㎞) : 낙동정맥,백두대간,낙남정맥
5대강 발원지
1. 한강 (494㎞. 유역면적 34.4백만㎢,북한지역 제외 25.9㎢)
- 최장 발원지(지리적 발원지) : 태백시 창죽동 금대봉 북동 하천 상류 고목나무샘
검룡소는 발원계곡에 흘러내려 온 물로 상품화 한 발원지란 주장이 있음
- 역사적 발원지(상징적 발원지) : 오대산 우통수 -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오대산 서대사 경내의 샘
2. 낙동강 (506㎞.유역면적 23.4백만㎢)
- 최장 발원지 : 태백시 화전동 서쪽 매봉산 천의봉 동북계곡 상류 너덜샘
- 역사적 발원지 : 태백시 중심부 황지 연못
3. 금강 (394㎞. 유역면적 10백만㎢)
전북 장수군 수분리 신무산 남쪽계곡 뜬봉샘
4. 섬진강 (223㎞. 유역면적 4.9㎢)
전북 진안군 백운면 신암리 팔공산 서쪽계곡 데미샘
5. 영산강 (138㎞. 유역면적 3.4㎢)
전남 담양군 용흥리 병풍산 북쪽 가마골용소
'산 넘고 산 > 산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석대. 세속을 떠난 선비같이 초연한 모습 / 고경명의 글 (0) | 2010.10.08 |
---|---|
세계 산악 그랜드슬램 (0) | 2009.01.24 |
등산용어 (0) | 2009.01.24 |
아름다운 물빛 (0) | 2009.01.11 |
해발고도는 어떻게 재나 (0) | 2008.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