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향 글향이 있는 산방

산을 걷고 길을 걸으며 세상을 배웁니다

향 곡 산 방 ( 鄕 谷 山 房 )

역사와 문화가 있는 풍경/서울 경기 탐방

서촌 탐방 1. 서촌의 왕족과 사대부

향곡[鄕谷] 2014. 4. 18. 11:31

 

촌 탐방 1

 

서촌의 왕족과 사대부

서울 종로구 창의문로, 자하문로 (2014.4.2, 2014.4.12, 2014.5.7)

 

 

 

 

경복궁 동쪽에서 창덕궁 사이를 북촌이라 하고, 경복궁 서쪽에서 인왕산 사이를 서촌이라 부른다. 서촌은 조선 왕조가 들어선 이래 새로 자리 잡은 마을이다. 그래서 처음에는 왕족이 살기 시작하였고, 세월이 지나면서 권력의 중심에 선 사대부가 살았고, 조선 중기 이후에는 여유가 생긴 중인 계급들이 살았다. 일제 강점기엔 나라를 팔아먹은 자들이 그 땅을 차지하게 되어 역사의 부침과 더불어 흥망성쇠를 같이 한 사람들이 살던 땅이다.  

 

요즈음 서촌에 가면 '세종대왕이 나신 마을'이라는 현수막이 곳곳에 붙어 있다. 경복궁역 북쪽이며 경복궁 서편에 있는 우리은행 효자동지점 자리가 준수방(俊秀坊)이 있었던 곳으로 태종과 세종이 태어난 곳이다. 정종, 광해군, 영조, 인조도 이곳 서촌 출신 왕이다. 공교롭게도 서촌 출신 왕들은 모두 장자가 아니라는 공통점이 있으니 왕의 운명은 따로 있다는 말이 맞다. 그밖에 안평대군, 효령대군도 서촌에서 난 대군들이다. 안평대군은 비해당 터, 무계정사 등을 둘러보면서 겸재 정선이 그린 몽유도원도와 연결하여 따로 얘기할 내용이 많다.    

 

 

 우리은행 효자동 부근은 준수방터로 태종과 세종이 태어난 곳이다 

 

 

 

 

잠저란 왕이 되기 전 살던 집을 말하는데, 서촌 주변엔 그런 집터가 몇몇 있었지만 지금은 그 자취를 찾는 것이 쉽지 않다. 궁궐이 전란에 화마로 휩싸인 정도였으니 그것을 기대하는 것은 어렵다. 광해군은 궁을 여러 채 지었는데, 왕기가 서렸다는 곳을 빼앗아 궁을 지었어도 끝내 들어가 보지도 못하였다. 경복궁 서쪽통의동 백송이 있는 곳은 영조의 잠저인 창의궁이 있었다. 지금은 죽은 백송이 몇 그루 덩그러니 있다. 왕을 낳은 후궁들은 아들이 왕이더라도 죽은 후 종묘에 들어가지 못하였다. 그런 후궁들의 신위를 모아 놓은 칠궁은 청와대 경내에 있어서 사전에 신청한 사람들에게 공개하고 있다. 담을 끼고 지나가며 바깥 일부는 볼 수 있다.

 

 

 

 

 영조의 잠저인 창의궁 터에 있통의동 백송나무도 그 생을 다하였다

 

 

 

 

청운동 경기상고 뒤뜰에 가면 겸재 정선의 장동팔경첩에 나오는 청송당이란 바위 각자만 남아 있다. 사대부가 이곳에 자리 잡을 무렵 뛰어난 은둔 학자 성수침이 지내던 곳이다. 백악산 바로 아래서 솔바람소리를 듣는다는 청송당(聽松堂)이다. 성수침이 죽자 율곡과 기대승과 퇴계가 행장과 묘지명과 묘갈명을 썼다. 백악산 밑에서 옛 것을 볼 수 있는 곳은 청와대 경내에 여럿 있다 하니 우리가 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곳이다. 학교에서는 출입을 엄격히 통제하여 교정 뒤까지 들어가기가 쉽지 않다. 

 

 

 

 경기상고 교정안 뒤편에 있는 청송당터. 바위에 새긴 청송당 유지란 글자가 뚜렷하다

 

 

 

 청송당터 바로 뒤가 백악산이다 (보통 북악산이라 부른다)

 

 

 

 

17세기에는 인왕동 아래에서 장동 김 씨들이 중심인물이었다. 물론 그전부터 자리 잡았지만 영향력을 발휘것이 그때이다. 장동(壯洞)이란 장의동(壯義洞)에서 왔다 하는데, 청풍계가 중심지이다. 교과서에 등장는 김상용 김상헌 형제로 귀에 익숙하다. 그 삶은 충절과 의리의 집안이었다. 집터는 주택들이 들어서서 옛 자취는 없지만 바위에 백세청풍(百世淸風) 각자는 뚜렷하다.  후손 김창업의 호인 노가재를 딴 가재 우물은 어느 집 축대 밑 쇠창살에 갇혀 있다. 다행히 주인의 도움으로 자물쇠를 열고 들어가 그 안을 들여다볼 수 있었다. 겨울에도 얼지 않는 우물이라 하였다. 청음 김상헌 집터는 청와대 서편 담과 길을 사이에 두고 지에 시비가 서 있는 곳이다.  

 

 

 김상용 집터 '백세청풍' 바위 각자 / '길이길이 오랜 세월 동안 맑고 곧은 기운'이라는 뜻이다. 

 

 

 

 

 김상용 집터  / 청운초등학교 북쪽 길 300m 오른쪽 길가에 있다

 

 

청음 김상헌 집터. 청와대 담장 서편 녹지에 아름다운 이팝나무들 사이에 있다

 

 

 

 가재 우물 / 김창업의 호 노가재에서 따온 이름. 서울 종로구 옥인동 47번지 위쪽에 있다

 

 

 

 

경복궁역에서 사직동 방향으로 가다가 배화여고 교정 뒤에 필운대(弼雲臺)가 있다.  권율 장군의 사위 이항복의 집터로 필운은 이항복의 별호이기도 하다. 명나라 사신에게 인왕산 이름을 구하였더니 필운산이라 지었다는데, 필운이란 우필운룡(右弼雲龍)으로 '임금을 우측에서 보필한다는 뜻'이다. 구한말 독립운동을 하려고 6형제가 전재산을 팔아 망명한 이회영 일가도 이항복의 후손이다. 바르게 배워 바르게 실행한 빛나는 인물이다. 

 

 

 

 

 필운대(이항복 집터) / 배화여고 교사 뒤편에 있다

 

 

배화여고 교사 / 평일은 학교 수업으로 필운대까지 들어갈 수가 없다

 

 

 

 

※ 참고 도서 1. 서울의 시간을 그리다. 이장희 지음. 문학동네. 2013.

 2. 오래된 서울. 최종현 김창희 지음. 동하. 2013

 3. 사라진 몽유도원도를 찾아서. 김경임 지음. 산처럼.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