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향 글향이 있는 산방

산을 걷고 길을 걸으며 세상을 배웁니다

향 곡 산 방 ( 鄕 谷 山 房 )

수목원 5

국립수목원 식물 5. 봄(4월), 풀과 양치식물

국립수목원 식물 5. 봄(4월), 풀과 양치식물 - 경기도 포천 광릉 (2023.4.14)  식물은 부지런하여 봄이 오면 동물보다 먼저 기척을 내며 자리에서 일어난다. 식물 중에서는 풀이 나무보다 먼저 부지런을 부린다. 풀은 나무가 잎을 내어 햇볕을 가리기 전에 꽃을 피워야 후손을 생산하기가 낫기 때문이다. 그들은 비록 여리지만 가시를 내고 독성을 내고 무진 애를 쓰며 살아간다. 아름다운 모습과 향긋한 향기도 그들이 살아가는 방편이다. 화려한 꽃을 피우지 않더라도 무리 지어 살아남아 영역을 넓힐 수 있으면 강자이다. 풀들과 양치식물에는 그런 것들이 많다.   △ 동의나물 (미나리아재비과) : 미나리아재비과 식물에는 독성이 있는 것이 많다. 동의나물은 독성이 강하다. 잎 모양이 곰취와 비슷하여 산나물을 할..

국립수목원 식물 4. 봄(4월), 중간키나무와 작은키나무

국립수목원 식물 4. 봄(4월), 중간키나무와 작은키나무 - 경기도 포천 광릉 (2023.4.14)  봄으로 들어서니 산빛이 연초록으로 밝아졌다. 원래 봄은 물이 적은 계절인데 식물들은 부지런하여 초록빛을 드리우는 것을 잊지 않았다. 며칠 전 비가 조금 오더니 식물들이 급한 갈증은 풀었는 모양이다. 그래도 여전히 목마르다. 물기가 나무줄기에 젖어서 흘러내릴 정도는 되어야 할 텐데 말이다. 올해는 꽃이 열흘 이상 빨리 왔다가 더 빨리 진다는 느낌이다. 꽃자랑 할 시간도 없다. 안 그래도 짧은 생애에 식물들은 바쁘기만 하다. 꽃구경을 나서는 사람들도 바빴을 것이요, 늦게 나온 벌들은 늘 보던 꽃을 구경하지 못했을 듯싶다.      △ 까마귀밥나무 (범의귀과) : 까마귀 밥이 열리는 나무란 뜻의 이름이다. 콩..

국립수목원 식물 3. 봄(4월), 큰키나무

국립수목원 식물 3. 봄(4월),  큰키나무- 경기도 포천 광릉 (2023.4.14)  봄은 식물을 보러 나서기 좋은 계절이다. 식물을 볼 땐 오감을 동원한다. 눈으로 보며, 때론 만져도 보고, 어떤 것은 맛을 보기도 하고, 소리가 나면 듣기도 하고, 냄새를 맡기도 한다. 수목원에는 눈을 떼지 못할 아름다움이 많다. 꽃도 형형색색 아름답지만 수목이 주는 모양도 그러하고, 봄에 피어나는 초록은 얼마나 또 아름다운가. 어디선가 바람결에 향기가 날아오며 코 끝이 향긋하다. 식물은 꽃의 모양도 냄새도 번식을 목적으로 한다. 식물은 자신을 위하여 그렇게 최선을 다한다.        △ 계수나무 (계수나무과) : 일본명 계수(桂樹)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이야기에 나오는 달나라 계수나무와 관련은 없다. 가을에 노랑 단..

국립수목원 식물 2. 여름, 풀

국립수목원 식물 2. 여름, 풀     - 2019.7.10. 경기도 포천 광릉     ↑ 광릉갈퀴 (콩과) : 광릉에서 처음 발견하였다는 갈퀴나물이다. 그렇지만 그 외에 지역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 깽깽이풀 (매자나무과) : 개미에 의해 번식을 하다가 보니 깽깽이(깨금발)로 뛰어간 것처럼 띄엄띄엄 자란다고 붙은 이름이다. 한계령풀속 식물에 비해 잎이 뿌리에서 모여 나고 방패 모양인 점이 다르다.     ↑ 꼭두서니 (꼭두서니과) : '곱도숑'에서 유래하여 곡도손 그리고 '곡도손이'가 변한 이름이다. 뿌리를 염료로 썼는데, 귀신이 곡할 정도로 변화가 심하다는 뜻이라 한다. 약간 덩굴성이고 가시가 있으며 잎이 심장형이다.     ↑ 낙지다리 (돌나물과) : 꽃차례나 열매 모양을 낙지다리에 비유..

천리포수목원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수목원

천리포수목원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수목원 충남 태안군 소원면 (2013.11.3)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수목원이라니 호기심이 생기는 곳이다. 천리포수목원을 만든 사람은 파란 눈의 한국인인 민병갈박사(1921~2002)이다. 청년장교로 미국에서 와서 이 땅에 반 세기 넘게 살면서 귀화해서 천리포수목원을 가꾸어서 전 재산을 남기고 이 땅에 잠들었다. 14000여 품종이 있는 이 수목원은 나무가 주인이다. 18만 평 중 2만 평을 개방하고 있는데, 비료도 가지치기도 살충제도 영양주사도 놓지 않는 자연 그대로 사는 나무의 왕국이다.  1970년에 처음 나무를 심었다. 물이 적으면 연못을 만들고, 바람이 많으면 방풍림을 만들었다. 잉여종자목록을 만들어 다른 나라들과 종자를 교환하여 세계적 수목원을 이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