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향 글향이 있는 산방

산을 걷고 길을 걸으며 세상을 배웁니다

향 곡 산 방 ( 鄕 谷 山 房 )

쓴맛 5

안동 송사동 소태나무 / 우리나라 최고령 쓴맛 나무

안동 나무 탐방 5 안동 송사동 소태나무우리나라 최고령 쓴맛 나무   천연기념물 제174호안동시 길안면 송사리 100-7    길안면에서 묵계를 지나 길안천 상류로 가는 길을 따라서 갔다. 길 옆으로 보이는 풍경이 감탄이 나올 만큼 아름답다. 주변 산이 암석에 큰 빗금을 친 모습이 화려하다. 다가서며 보이는 천지갑산 앞 길송분교에 400여 년 된 우리나라 최고령인 송사동 소태나무가 있다. 소태나무로는 우리나라 유일의 천연기념물이기도 하다. 동행한 친구가 30대에 여기 학교서 근무를 했다. 그때는 본교였는데 이제는 길안초등 길송분교가 되었다.   소태나무는 나무 어느 부분을 씹더라도 아주 강한 쓴맛이 난다. 한번 그 맛을 본 사람이면 그 기억이 오래간다. 사탕을 하나 준비하고 씹어야 할 정도이다. 쓴맛은 ..

소태나무 / 지독히 쓴맛 소태맛이 나는 나무

소태나무 지독히 쓴맛 소태맛이 나는 나무 과명 : 소태나무과 개화 : 5~6월 결실 : 9~10월 높이 : 10~15m 분포 : 전국 산지 약이나 음식을 먹다가 지독히 쓰면 '소태 같다'라고 표현하고, 찡그린 표정에는 '소태 씹는 얼굴을 하고 있다'라고 한다. 여러 맛 중에서 가장 쓴맛이 소태맛이다. 소태나무 잎이나 가지를 씹으면 지독한 쓴맛이 난다. 소태나무껍질이 소태이고, 소태맛이 나는 나무라고 소태나무다. 또는 나무를 자르면 안쪽에 노란 심재가 별을 박아놓은 것처럼 보이는데, 그것을 소태라고도 한다. 즉 소태는 '별박이'가 있는 것을 뜻하는 말이라고도 한다. 소태나무는 잎, 나무껍질, 줄기, 뿌리가 다 쓰다. 특히 줄기나 가지의 속껍질이 가장 쓰다. 소태나무 속명 Picrasma는 쓴맛을 뜻하는 그..

자주쓴풀 / 아름답지만 쓰다

자주쓴풀 아름답지만 쓰다 과명 : 용담과 다른 이름 : 수황 연, 장야채, 어단초 개화 : 9~10월 분포 : 전역 꽃말 : 지각, 고초(苦草) 자주쓴풀은 '자주색 꽃이 피는 쓴풀'이라는 뜻을 가진 이름이다. 자주쓴풀은 늦가을 깊은 산 양지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오래전에 큰 산에서는 가끔 보았는데, 최근에 남한산성에서 산행하다가 외진 곳에서 자라는 자주쓴풀을 여러 포기 보았다. 용담과 풀이 원래 쓰다고 하는데, 용담보다 10배는 더 쓰다는 풀이다. 9월 중순경부터 꽃차례가 보이더니 9월 하순에 하나 둘 피고, 10월에 들어서니 대부분 피었다. 줄기는 네모가 지고 곧게 섰다. 줄기 밑에서 위로 가지가 고루 갈라져서 나온다. 밑에 가지는 길고 위에 것은 짧다. 잎은 껍질이 변해서 된 가시처럼 뾰족하다...

씀바귀 / 쓴 맛의 대표 나물

씀바귀 쓴 맛의 대표 나물 씀바귀 들판, 논두렁, 낮은 야산에 봄나물이 올라오는 즈음 씀바귀는 지천이다. 하얀 뿌리가 쓰다고 하여 씀바귀이다. 쌉싸름하여 입맛을 당긴다 하여 봄나물로 많이 해 먹었다. 5월 중순이 넘어서면 씀바귀도 꽃이 벌써 지고 있다. 씀바귀는 꽃대가 생기기 전에 캐야 식용의 효과가 있다고 한다. 씀바귀는 한자로 도(荼)라 하는데, 풀어보면 풀초(艹)에 여(余)로, 다른 풀을 다 캐고 남는 식용거리로 캐는 나물이라 그리 붙였다. 약은 식물에서 주로 추출한다. 우리가 먹는 식용 식물은 보약인 셈이다. 씀바귀의 효능을 찾아보았더니 엄청나다. 씀바귀를 달여 그 물을 마시면 위에 좋고, 봄에 나른할 때 춘곤증을 이기게 하며 입맛을 돋우고, 시력에 좋다. 또 당질의 흡수를 막아 혈당을 줄이는 역..

용담 / 눈부시게 푸른 푸르름이여

용담눈부시게 푸른 푸르름이여 과명 : 용담과꽃말 : 애수, 정의      진한 청색이 눈부실 정도로 아름다운 용담은 꽃 보다도 약용식물로 더 유명하다. 약효와 관련된 전설로 헝가리에서는 '성 라디스라스 약초'라 부르기도 하는데, 그것은 옛날 라디스라스 왕국이 페스트라는 병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왕이 화살을 쏘면서 신에게 병을 치료할 수 있는 식물에 맞춰 달라고 빌었다. 그리고 나서 화살을 찾아보니 화살은 용담의 뿌리를 관통하였고, 왕은  그 뿌리를 모아 병을 치료했다는 것이다.  백성의 병을 고치게 했다는 효용 탓으로 용담꽃의 꽃말은 '정의'이다.  용담(龍膽)이라 한 것은 뿌리가 쓰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다. 얼마나 쓴 것이기에 보지도 못한 용의 쓸개라고 하였을까? 2005년 가을 영남알프스 산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