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향 글향이 있는 산방

산을 걷고 길을 걸으며 세상을 배웁니다

향 곡 산 방 ( 鄕 谷 山 房 )

문무인석 4

왕릉과 숲 13. 서울 태릉(泰陵.중종 세번째 왕비 문정왕후)과 강릉(康陵.명종)

왕릉과 숲 13 서울 태릉(泰陵. 중종 세 번째 왕비)과 강릉(康陵. 명종) 서울 노원구 공릉동 태릉(泰陵) : 조선 11대 중종(中宗)의 세 번째 왕비 문정(文定) 왕후 윤(尹)씨 (1501-1565.64세)의 능 (단릉) 강릉(康陵) : 조선 13대 명종(明宗. 중종의 둘째 아들. 경원대군. 1534.5-1567.6(33세). 재위 1545.7-1567.6(21년 11개월))과 인순(仁順) 왕후 심(沈)씨(1532-1575. 43세)의 능(쌍릉) 태릉은 조선 11대 중종의 세 번째 왕비인 문정왕후가 묻힌 능이다. 주변은 선수촌, 사격장으로 터가 줄어들고 어수선한 곳이었다. 조선왕릉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자 태릉이 왕릉군의 하나로 관심을 받고 있다. 전철 태능역 입구에서 내려 버스를 타고 10분 정도..

왕릉과 숲 5. 남양주 광릉(光陵.세조)

왕릉과 숲 5 남양주 광릉(光陵. 세조)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광릉(光陵) : 세조(世祖. 세종 2남. 수양(首陽) 대군. 1417-1468(51세), 재위 13년 3개월(1455-1468)과 정희(貞熹) 왕후 윤(尹)씨(1418-1483.65세) 동원이강릉 수양대군은 세종의 둘 때 아들이다. 수양의 형이 문종(5대)이고 조카가 단종(6대)이다. 나이 어린 단종은 허수아비였고 권력은 신하가 쥐고 있었다. 수양대군은 무사를 데리고 김종서 부자를 죽이는 계유정난(癸酉靖難)을 시작하였다. 수양은 단종에게 달려가 거짓 이유를 대고 김종서를 처단했음을 알리고, 왕명을 빙자해서 왕궁에 영의정 등 관리들을 차례로 불러들여 대학살을 자행하였다. 관리들 가족까지 죽이고 노비로 삼는 보복을 하였다. 왕조의 정상적..

왕릉과 숲 4. 여주 영릉(英陵.세종)과 영릉(寧陵.효종)

왕릉과 숲 4 여주 영릉(英陵. 세종)과 영릉(寧陵. 효종)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왕대리 산 83-1(영릉로 269-1) 영릉(英陵) : 조선 4대 세종(世宗. 태종 3남. 충녕대군. 1397-1450(53세). 재위 31년 6개월(1418-1450))과 소헌(昭憲) 왕후 심(沈)씨(1395-1446. 51세) 합장릉 영릉(寧陵) : 조선 17대 효종(孝宗. 인조 2남. 봉림대군. 1619-1659(40세). 재위 10년(1649-1659))과 인선(仁宣)왕후 장(張)씨 (1618-1674. 56세) 동원상하릉 영릉 가는 길은 경강선이 생겨서 찾아가기가 나아졌으나 세종대왕릉역에서 다시 다른 교통편을 이용해야 한다. 여주시내에서 이른 점심을 먹고 십여 리 여강길을 걸어서 영릉으로 갔다. 신륵사 앞 남한강 ..

무덤에 문무인석은 왜 세웠을까?

무덤에 문무인석은 왜 세웠을까?      문인석(文人石)은 문관(文官), 무인석(武人石)은 무관(武官)을 돌로 새겨 무덤 앞에 세운 석상이다. 문인석은 관복을 입고 홀(임금을 만날 때 들고 가는 작은 판)을 들고 있고, 무인석은 갑옷을 입고 칼을 쥐고 있다. 왕릉과 사대부 가문의 묘 앞에 세워서 사악한 기운을 쫓아 죽은 이의 혼을 지키고자 만든 석물이다. 살아생전에 영화를 기리고자 한 뜻도 있다. 공덕이 적거나 후손이 번창하지 못하거나 역할이 적었던 사람들이 묻힌 무덤에 가보면 그것을 확연히 느낄 수가 있다.  왕릉에 다니다가 보면 문무인상 크기와 조각이 우람한 석물을 볼 수 있다. 동구릉에 있는 석상들이 대체로 큰데, 태조의 능인 건원릉과 여주에 세종을 모신 영릉의 문인석은 그러한 원형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