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를 잡는 나무
작년 겨울에는 미세먼지가 덜했는데 겨울이 되니 미세먼지 얘기가 또 언론에 나온다. 미세먼지는 대기오염물질에서 발생하고, 황사는 중국 모래폭풍에서 발생한다. 미세먼지는 중국에서 날아온 것에다가 국내 환경오염과 일상생활에서도 생긴다. 중국에서 건너온 것이 많아지면 미세먼지는 더 늘어난다. 매일 미세먼지 배출 총량은 비슷하지만 미세먼지 농도는 공기 상태, 바람, 기상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코로나 때문에 중국 공장 가동이 줄었다가 다시 늘어난다고 하니 미세먼지도 같이 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다.
미세먼지 크기는 10㎛이고, 초미세먼지는 2.5㎛를 기준으로 한다. 1㎛(마이크로미터)는 0.001㎜이고 1㎛/㎥는 1PM으로 써서 미세먼지 10㎛/㎥는 10PM으로 표시한다. 머리카락 굵기가 50~70㎛이니 미세먼지는 머리카락 굵기의 1/5이고, 초미세먼지는 1/20 이하이다. 코 점막은 미세먼지를, 목에서는 초미세먼지를 어느 정도는 거를 수 있지만, 흡수되지 않은 미세먼지나 2.5㎛ 미만 초미세먼지는 피부, 눈, 코, 기관지, 뇌, 폐, 심장으로 들어가거나 붙어서 각종 질환을 유발한다.
고농도 미세먼지가 있으면 외출을 줄이고, 외출을 하게 되면 보건마스크를 쓰고, 외출 후에는 깨끗이 씻고, 물과 과일 채소를 먹고, 실내 환기와 물청소를 한다. 그리고 식물화분을 실내에 두면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다. 잎 표면 왁스층과 잎 뒷면에 미세먼지가 붙기도 하고, 식물 공기구멍으로 흡수된 미세먼지는 뿌리로 이동하고 뿌리에 있는 미생물질에 의해 오염물질이 분해되는 것이다. 또 식물에 의해 방출된 음이온에 미세먼지가 붙어 중량이 무거워지면서 바닥에 떨어지게 된다.
꽃을 가꾸고 나무를 심는 것도 미세먼지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잎은 미세먼지를 흡착, 흡수하고, 가지와 나무줄기는 미세먼지를 차단하고, 숲 내부에 상대적인 낮은 기온과 높은 습도는 미세먼지를 아래로 가라앉게 한다. 산림청에서 국내에서 많이 심는 나무 중에서 미세먼지 저감능력이 높은 나무를 발표한 적이 있었다. 그런 나무들을 보면 잎 표면구조와 형태가 복잡하고, 기공 크기와 밀도가 높은 수종들이다. 늘 푸른 나무로는 가문비나무, 소나무, 구상나무, 삼나무, 잣나무, 눈향나무, 옥향, 황금측백 등이 있는데, 늘 푸른 나무가 낙엽 지는 나무보다 흡수력이 더 뛰어나다고 한다. 낙엽 지는 나무로는 잎에 털이 많고 표면이 끈적끈적한 나무들로 느티나무, 밤나무, 갈참나무, 낙우송, 낙엽송(일본 잎갈나무), 버즘나무(플라타너스), 자귀나무, 철쭉, 두릅나무, 고광나무, 국수나무, 덜꿩나무 등이 있다.
나무 한 그루가 1년에 흡수하는 미세먼지 양은 35.7g으로 에스프레소 한 잔 정도이다. 나무를 심으면 미세먼지를 흡수하여 공기를 맑게 하고, 토질이 개선된다. 학교 다닐 때 식목일마다 산에 가서 나무를 심었던 일이 생각난다. 우리나라는 나무가 많기로 세계에서도 최상위다. 나무를 심어 강산을 푸르게 한 산림녹화사업은 선견지명의 사업이었다. 나무를 심어 숲을 가꾸면 폭염도 막고, 휴식공간도 만들 수 있고, 환경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하늘을 맑게 하는 일이 나무 한 그루에서 시작한다.
'자연의 향기 > 숲향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무는 겨울에 제대로 보인다 (0) | 2021.01.30 |
---|---|
2020년 '올해의 꽃' (0) | 2021.01.07 |
이름에 초(草)나 풀이 들어간 나무 (0) | 2020.11.13 |
나뭇잎이 하늘을 열고 닫고 (0) | 2020.11.03 |
희귀식물과 멸종위기식물은 무엇? (0) | 2020.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