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향 글향이 있는 산방

산을 걷고 길을 걸으며 세상을 배웁니다

향 곡 산 방 ( 鄕 谷 山 房 )

자연의 향기/식물 비교

'-아재비' 이름 식물 / 원형 식물과 비슷한 점은?

향곡[鄕谷] 2024. 6. 2. 21:29

 

'-아재비' 이름 식물 

원형 식물과 비슷한 점은?

 

 

'아재비'는 아저씨를 낮추어 부르는 말이다. 지방에 따라 '작은아버지'를 그렇게 부르기도 한다. 옛날에 어른들이 '아재비 노릇은 잘하냐?' 할 때 그 아재비이다. 식물 이름에도 '-아재비'가 붙은 이름이 있다. '-아재비'는 같은 종류나 비슷한 식물에 이름을 붙이는 데 사용하였다. 어떤 원형 식물에 거리 차이를 촌수로 비교하여 쓴 것이다. 무엇이 비슷한 것인지 찾아보았다.

 

 

꿩의다리와 꿩의다리아재비

 

꿩의다리(미나리아재비과)는 길게 뻗은 줄기에 드문드문 마디가 있는 모습을 꿩의 다리에 비유한 데서 유래했다. 수술대가 매우 길고 열매자루가 길며 열매에 3~4개의 날개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꿩의다리아재비(매자나무과)는 꿩의다리와 유사한 식물이라는 뜻에서 붙은 이름이다. 길게 뻗은 줄기가 비슷해서 붙인 이름인 것 같다. 잎은 같은 매자나무과인 삼지구엽초와 비슷한데 잎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없는 것이 다르다.

 

 

꿩의다리 / 흑산도 칠락산 (전남 신안. 2020.6.9)

 

꿩의다리아재비 / 연인산 (경기도 가평. 2024.5.2)

 

 

 

 미나리와 미나리아재비

 

미나리(산형과)의 '미'는 믈(水)이 변한 말이고 나리(百合)는 풀이란 의미로 물에서 자라는 풀이란 뜻에서 유래했다. 믈나리가 미나리가 되었다. 미나리는 줄기의 아랫쪽이 눕는 성질을 지녔다. 미나리아재비(미나리아재비과)는 미나리와 유사하다는 뜻의 이름이다. 미나리가 자라는 저지대 습한 지역에 함께 자라서 미나리를 채취할 때 섞여 있어 혼동이 되기도 한다. 뿌리잎이 손바닥모양으로 갈라지고 줄기잎은 3개의 피침형으로 갈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미나리 종류와 닮아서 그 명칭이 전용된 미나리아재비과는 사실상 미나리 종류와 전혀 상관 없는 분류군으로 대부분 독이 있다. 미나리아재비에 비해 크기가 작은 바위미나리아재비가 있고, 가는미나리아재비, 산미나리아재비, 왜미나리아재비도 있다. 

 

 

미나리(산형과) / 남한산성 (2020.9.15)

 

미나리아재비(미나리아재비과) / 청량산 (경기도 성남. 2020.9.15)

 

 

 

별꽃과 별꽃아재비

 

별꽃(석죽과)이란 이름은 5장으로 핀 흰꽃의 형태가 작은 별을 닮은 데서 유래했다. 쇠별꽃에 비해 암술대가 3개이고 잎 밑부분이 원 모양인 점이 특징이다. 별꽃아재비(국화과)는 별꽃과 유사하다고 붙인 이름이지만 유사성이 그다지 많지 않다. 털이 많고 혀모양 꽃이 큰 털별꽃아재비가 있다. 우리나라는 별꽃아재비 보다 털별꽃아재비가 더 흔하다.

 

 

별꽃 / 경기도 성남 (2020.3.9)

 

 

털별꽃아재비 / 남한산성 (2020.9.25)

 

 

 

○ 윤판나물과 윤판나물아재비

 

윤판(輪板)은 수레바닥에 까는 널을 뜻하는데, 윤판나물(백합과)이란 이름은 잎이나 주걱모양 꽃잎이 윤판처럼 생긴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윤판나물아재비(백합과)는 대처럼 길게 자라는 애기나리라 하여 '대애기나리'였다가 윤판나물아재비로 바뀌었다. 윤판나물은 전국에 분포하며 꽃이 노란색이고 꽃잎 끝이 둥글어 주걱모양이며 줄기가 진한 흑갈색인 반면에, 윤판나물아재비는 제주도, 울릉도, 남부지역 섬 숲 속에 분포하며 꽃이 녹색을 띠는 흰색이고 꽃잎 끝이 뾰족하고 줄기가 녹색인 점이 다르다. 

 

 

윤판나물 / 소요산 (2015.5.10)

 

 

윤판나물아재비 / 충북 제천 (2020.9.13)

 

 

 

서양등골나물과 등골나물아재비

 

서양등골나물(국화과)은 북미원산 귀화식물로 경인지역에서 퍼지기 시작하였다. 다른 등골나물에 비해 꽃이 희고 많이 달린다. 음지에서 잘 자라 군락을 이루며 범위를 넓히고 있다. 등골나물아재비(국화과)는 제주도에서 처음 발견된 귀화식물이다. 꽃이 서양등골나물과 비슷하여 등골아재비란 이름을 얻었다.

 

 

서양등골나물 / 청량산 (경기도 성남. 2020.9.28)

 

 

등골나물아재비 / 제주 (2022.9.22)

 

 

 

맥문동과 맥문아재비

 

맥문동(백합과)은 중부 이남 산지의 숲 속에서 자라는 상록성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덩이뿌리가 보리를 닮았고 겨울에도 잎이 지지 않기 때문에 맥문동(麥門冬)이라 한다. 맥문아재비(백합과)는 맥문동과 유사하다는 이름이나 실제로는 소엽맥문동과 유사하다. 맥문아재비는 제주나 전남 숲 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소엽맥문동보다는 대형이고 가는 줄기는 없으며 잎이 넓은 점이 다르다.  

 

 

맥문동 / 서울 남산 (2019.8.13)

 

 

맥문아재비 / 선유도 (서울 영등포구. 2019.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