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향 글향이 있는 산방

산을 걷고 길을 걸으며 세상을 배웁니다

향 곡 산 방 ( 鄕 谷 山 房 )

우리도 산처럼/설악산

설악산에서 사는 식물 5. 팔월에 꽃 ②

향곡[鄕谷] 2023. 8. 18. 22:06

설악산 49

 

설악산에서 사는 식물 5

팔월에 꽃 ②

 

 

 

 

공룡능선과 대청봉과 중청 등 정상으로 가는 능선에 오르면 고산식물을 볼 수 있다. 고산식물은 대부분 여름에만 자란다. 몇 년 살면서 영양분을 저장하여 꽃을 피우느라 고산식물은 다년생이 많다. 숲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광도는 줄어든다. 적은 광도에서 자라느라 식물은 그에 적응하여 자란다. 오래된 숲이라 고사목도 많다. 고사목은 그 자체로 다른 식물이 살아가는 자양분이 되고, 동물의 은신처가 되면서 다른 생명들을 모은다. 

 

여름에 설악산에 가는 일이 많았다. 산은 여름 기온이 낮아 다니기가 좋다. 거의 매년 다니다가 보니 어느 곳에 바람꽃과 솜다리가 있고, 어느 바위 부근에 가면 금강초롱꽃이 자란다는 것을 안다. 꽃개회나무나 만주송이풀, 바람꽃은 산정에 오르면 볼 수 있다. 바람꽃은 6월부터 8월까지 계속 볼 수 있고, 산오이풀은 바위 부근에 있는데 여름부터 가을까지 볼 수 있다. 아쉬운 것은 갈 때마다 바람꽃이 줄고, 솜다리 개체수가 줄어드는 것이다. 설악을 아름답게 하는 꽃들이다. 꽃이 살아가기 위해 이겨내야 할 심술이 많다. 이곳에 담은 꽃들은 8월 하순에 본 꽃들이다.

 

 

사진 : 향곡

 

 

 

과남풀

 

과남풀 (용담과) : 과남풀이란 이름은 생약명 용담의 옛이름 관음풀에서 유래한 것으로 꽃이 피었을 때 모습이나 다양한 효과가 있는 약성이 불교의 관세음보살을 연상시킨다는 뜻에서 붙은 이름이다. 이명은 칼잎용담 또는 큰용담이다. 용담에 비해 잎이 타원형 피침형으로 길쭉하고 꽃받침조각이 뒤로 젖혀지지 않는 점이 다르다.

 

 

 

둥근이질풀

 

♧ 둥근이질풀 (쥐손이풀과) :  이질풀을 닮았는데 꽃이 크고 끝이 둥글며 턱잎이 넓은 달걀모양을 이룬다는 뜻에서 붙인 것으로 추정한다. 이질풀은 이질병 치료에 쓰는 풀이란 뜻의 이름이다. 높은 산에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미역취

 

미역취 (국화과) : 미역 맛이 나는 나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어린잎을 식용했는데, 데치거나 국을 끓이면 미역 맛이 난다. 잎이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인 것이 특징이다. 

 

 

 

배초향

 

배초향 (꿀풀과) : 排草香(배초향)이 어원으로 다른 풀을 물리치는 향기를 가진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이명은 방아잎, 방앳잎을 쓴다. 산과 들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향유나 꽃향유에 비해 꽃이 사방으로 피는 점이 다르다. 지역에 따라 잎의 모양에 변이가 심하다.  

 

 

 

산박하

 

산박하 (꿀풀과) : 산에서 나는 박하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지만 아무런 향기도 나지 않는다. 방아풀에 비해 잎이 삼각상 난형이고 수술과 암술이 화관 밖으로 나오지 않는 점이 다르다.

 

 

 

산오이풀

 

 산오이풀 (장미과) : 높은 산에서 자라고 잎에서 오이 냄새가 나는 풀이란 뜻에서 붙은 이름이다. 중부나 남부지방 높은 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오이풀에 비해 높은 산에서 자라고 꽃이 홍자색이며 꽃차례가 길고 끝이 아래로 쳐져서 달리는 점이 다르다. 

 

 

 

송이풀

 

흰송이풀

 

송이풀 (현삼과) : 송이풀이란 이름은 꽃이 줄기 끝에 덩어리를 이루어 달리는데 송이로 돌아가며 피어난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어린잎은 식용했다. 숲속이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나도송이풀에 비해 화관의 윗입술이 부리 모양인 점이 다르다. 흰색꽃이 피는 것은 흰송이풀이라 한다. 

 

 

 

 

투구꽃

 

투구꽃 (미나리아재비과) : 투구꽃은 꽃의 모습이 투구를 닮아 붙인 이름이다. 산지 숲속에서 사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한라돌쩌귀에 비해 꽃자루의 털이 곧게 퍼진 털이라는 점이 다르다. 

 

 

 

흰진범

 

흰진범 (미나리아재비과) : 흰진범은 흰색 꽃이 피는 진범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짐범은 원래 중국에서 한약명 진교(秦교)를 진봉(秦봉)으로 오기하고 이을 진범으로 오독해 불렀던 데서 유래했다. 줄기가 대개 비스듬히 서고 꽃의 꿀주머니가 길게 말린 점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