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향 글향이 있는 산방

산을 걷고 길을 걸으며 세상을 배웁니다

향 곡 산 방 ( 鄕 谷 山 房 )

산 넘고 산/산 자료실 36

진흥왕순수비

진흥왕순수비 서기 553년 신라가 한강 하류 일대를 차지하고 이 지역에 대한 통치를 강화하고, 진흥왕이 이 지역을 순행(巡行)하면서 비를 세웠다. 신라의 북방 진출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 1611년 금속학자인 김정희(金正喜)가 발견하였다. 중국의 천자(天子)가 자신의 지경(地境)을 순찰하는 것을 순수(巡狩)라고 하였는데, 신라가 황제가 쓰는 순수(巡狩)란 표현을 썼다는 것은 그 만큼 자주국가로서 자부심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 순수비명 / 세운시기 / 정복기념지역 1) 북한산비 진흥왕 16년(555년) 한강지역 2) 창녕비 진흥왕 22년(561년) 낙동강지역 3) 황초령비 진흥왕 29년(568년) 함경도지역 4) 마운령비 진흥왕 29년(568년) 함경도지역 창녕비

산행 정보 홈페이지

산행 정보 홈페이지 ♧ 주소를 누르면 바로 홈페이지로 가실 수 있습니다 국립공원 www.knps.or.kr 산림청 www.forest.go.kr 북한산둘레길 http://ecotour.knps.or.kr/dulegil/index.asp OK Mountain www.okmountain.com 한국의 산하 www.koreasanha.net 박영춘의 산행정보 www.gosan21.net 마운틴코리아 www.mountainkorea.com 대한산악연맹 www.kaf.or.kr 한국등산중앙연합회 www.sanak114.co.kr 김용기 등산학교 www.kimcs.com 한국산악회 www.cac.or.kr

설악산 지킴이들

[조용헌 살롱] 설악산 지킴이들조선일보 : 2005.08.25       산에는 두 종류의 인간이 산다. 스님과 ‘산꾼’들이다. 스님은 불교종단의 보호를 받지만, 오로지 산에 의지해서 삶을 꾸려가야 하는 ‘산꾼’들은 보호받을 울타리도 없다. 산꾼들을 만나다 보면 하나의 희망이 보인다. ‘이 세상에 죽으라는 법은 없다’는 사실을 산꾼들이 몸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설악산의 설악동에 거주하는 60대 중반 서종만씨. 40년 가깝게 설악산을 의지해서 살아왔다. 별명이 ‘설악산 타잔’이다. 비호같이 날렵하게 산을 탄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설악산의 골짜기 골짜기를 훤히 꿰고 있다. 어느 바위 옆에 어떤 나무가 있는지도 안다. 중년 때에는 산삼도 많이 캐서, ‘선데이 서울’에 산삼을 가장 많이 캔 사나이..

한국의 산

한국의 산                                    가덕산 858.1m 경기 가평 북면, 강원 춘천 서면 가라산 580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 다대리 가래봉 585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 가령산 642 충청북도 괴산군 가리봉 1,519m 강원 인제 가리산 1,051m 강원 홍천 두촌면, 화촌면 가리산 774 경기도 포천군 이동면 장암리 가리왕산 1,561m 강원 정선 북면, 평창 진부면 가마봉 925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인제군 남면 가산 902 경상북도 칠곡군 가섭산 710m 충북 음성 가야산 1,430m 경남 합천 가야면, 거창, 경북 성주 가야산 189 전라남도 나주 가야산 497 전라남도 광양시 광영동 죽마동 가야산 678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해미면 가은산 575 충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