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향 글향이 있는 산방

산을 걷고 길을 걸으며 세상을 배웁니다

향 곡 산 방 ( 鄕 谷 山 房 )

자연의 향기 737

추운 날의 벗 '세한삼우(歲寒三友)'

추운 날의 벗 '세한삼우 (歲寒三友)' 소나무(松), 대나무(竹), 매화나무(梅) 연초에 날이 차다. 집 앞 소나무에도 눈이 내리고 세상이 하얗다. 추운 날의 벗, 세한삼우가 있다. 겨울 추위에도 보기 좋은 세 가지인 소나무(松), 대나무(竹), 매화나무(梅)를 이른다. 세한삼우는 중국 송나라부터 유행하였다. 매화 대신 국화를 넣어 송죽국(松竹菊)으로 삼기도 하고, 송나라 시인 소동파(蘇東坡)는 소나무 대신에 돌을 넣어 매죽석(梅竹石)을 세한삼우라 하였다. 고려나 조선시대에 셋을 한목에 소재로 삼지는 않았지만, 각각은 인내와 절개, 지조와 품격을 상징하여 글이나 그림 소재로 많이 썼다.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가 그린 세한도(歲寒圖)에는 소나무가 나온다. 논어에 나오는 '날씨가 차가워진 후에야 송백(松..

2022년 '올해의 꽃'

2022년 '올해의 꽃' 우리가 꽃을 보는 것은 계절이 돌아오면 꽃은 생명의 힘을 다하여 어김없이 꽃을 피운다. 꽃에는 이미 아름다움이 그 안에 있어 아름답지 않은 꽃은 이 세상에 없다. 우리가 꽃을 보는 것은 자연을 내 안에 채워 마음을 넉넉하게 하는 것이다. 우리가 꽃을 보는 것은 마음에 꽃등을 켜서 마음을 향기롭게 하는 것이다. ▲ 풍도대극 (대극과) : 풍도에서 발견된 붉은대극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풍도 이외 지역에서도 발견되며 붉은대극과 통합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주장도 있다. 풍도 산 능선에서 볼 수 있다. 잎이 붉게 변한 것도 있다. ▲ 풍도바람꽃 (미나리아재비과) : 풍도에서 발견한 바람꽃. 따로 구분하지 않고 변산바람꽃의 변이로 보기도 한다. 들여다보니 꽃술은 변산바람꽃과 차이가 없다...

오래 사는 나무

오래 사는 나무 나이에 당당하다 나무마다 성질이 있어 좋아하는 토양이 있고, 좋아하는 위치가 있고, 좋아하는 기후가 있다. 나무들은 대체로 그런 환경에서 자리 잡고 산다. 나무는 그렇게 한번 자리를 잡은 곳에서 평생을 살아간다. 어떤 자연 재난이 오더라도 그저 살아갈 뿐이다. 그런 나무 중에서도 오래 사는 나무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아주 오래 사는 나무들 수령은 대략 1100~1300년 정도 된다. 대체로 빨리 자라는 나무는 수명이 짧고, 더디게 자라는 나무는 수명이 길다. 우리 주변에서 아주 오래 살아 친근한 나무로는 은행나무, 느티나무, 팽나무, 주목, 향나무가 있다. 그 밖에도 소나무, 이팝나무, 곰솔, 잣나무, 메타세쿼이아, 회화나무, 버드나무, 느릅나무, 굴참나무, 서어나무, 음나무, 밤나무, ..

2022년 '올해의 나무'

2022년 '올해의 나무' 나무로부터 배우는 것 막 싹을 틔운 나무가 성장을 마다한 이유는 뿌리를 튼튼하게 하기 위함이다. 나무가 성장 방향을 우듬지에 맡기는 것은 리더가 이끄는 방향을 믿기 때문이다. 나무가 잎을 떨어뜨리는 이유는 무거운 것을 지고는 멀리 갈 수 없음을 알기 때문이다. 나무가 믿음직한 것은 자연의 이치로 살기 때문이다. * 사진 : 향곡 / 향곡산방 ▲ 팽나무 (팽나무과) : 팽나무 열매로 쓴 팽총에서 팽 하는 소리가 나서 팽나무라는 이름이 유래한다. 동네 어귀나 바닷가에서 마을나무나 당산나무로 삼는 팽나무가 많다. 오래 살아서 500년은 예사이며, 열매가 맛있어 새들이 먹이를 찾아서 온다. 어청도 초등학교에는 팽나무가 여러 그루 있는데, 우람하고 아름답다. 철새의 섬 어청도에선 팽나무..

가을에 남한산성에서 피는 들꽃 9. 메꽃과 식물 (애기나팔꽃 ..) 외

가을에 남한산성에서 피는 들꽃 9 메꽃과 식물 (애기나팔꽃 ..) 외 * 애기나팔꽃, 새삼, 박주가리, 파리풀, 까마중, 뚝갈, 꼭두서니, 고추나물, 닭의장풀, 수까치깨, 누린내풀, 선괴불주머니, 산부추, 자주쓴풀, 용담, 초롱꽃 하얀 꽃이 대종인 여름을 지나면 보라빛 꽃이 등장한다. 가을에 꽃을 보는 시간은 짧다. 그러니 부지런을 떨어야 볼 수 있는 것이 가을 꽃이다. 가을은 열매를 맺어 결실을 이루는 계절이요 소멸과 부활을 동시에 준비해야 하니 식물들에게 가을은 바쁘다. 그래서 가을 꽃들은 모여서 피는 것이 많다. 모여서 꽃을 피우는 것은 꽃가루받이를 하기 위한 가을꽃의 전략이기도 하다. 키도 비슷하여 같이 힘을 합한다. 산중에 꽃은 선명한 빛을 내어 저마다 최선을 다해서 꽃을 피운다. ▲ 애기나팔꽃..

가을에 남한산성에서 피는 들꽃 8. 장미과 식물 (짚신나물...) 외

가을에 남한산성에서 피는 들꽃 8 장미과 식물 (짚신나물 ...) 외 *오이풀, 긴오이풀, 짚신나물, 뱀딸기, 큰뱀무, 술패랭이꽃, 쇠별꽃, 물봉선, 노랑물봉선, 병아리풀, 나도송이풀, 주름잎, 이질풀, 쥐손이풀, 큰세잎쥐손이 한여름에 피던 꽃들은 다른 계절보다는 적지만 가을까지 피는 꽃들이 꽤 있다. 여름 열기가 지나고 향기가 나는 꽃들이 하늘을 배경으로 피는 가을이다. 맑은 꽃 향연이다. 가을에 피는 꽃들은 씨앗을 맺고서도 계절을 기다려 인내 끝에 피운 결과이다. ▲ 오이풀 (장미과) : 오이풀이란 이름은 식물의 잎을 따 비벼서 코에 대어보면 오이 냄새가 진하게 나고 나물로 식용한 것에서 유래했다. 긴오이풀에 비해 꽃차례와 잎의 길이가 짧은 점이 다르다. 7~9월에 꽃이 핀다. ▲ 긴오이풀 (장미과)..

가을에 남한산성에서 피는 들꽃 7. 미나리아재비과 식물. 백부자와 투구꽃 외

가을에 남한산성에서 피는 들꽃 7 미나리아재비과 식물. 백부자와 투구꽃 외 * 외대으아리, 좀꿩의다리, 백부자, 세잎승마, 진범, 투구꽃, 자주조희풀 미나리아재비는 미나리와 연관이 있어서 아재비란 이름을 붙였다. 아재비는 아저씨를 낮추어 부르는 말인데 친근하게 부르는 말이기도 하다. 미나리가 자라는 저지대 다습한 지역에 함께 자라고 미나리를 채취할 때 그 속에 섞여 자라므로 얼핏 보면 미나리와 혼동되기도 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 본다. 식물의 분류는 나중에 있었던 것이니 미나리는 산형과이고 미나리아재비는 미나리아재비과이다. 그래서 살펴보니 미나리가 꽃색이 희고, 식물에 털이 없고, 독성이 없는데 비해, 미나리아재비는 꽃이 노랗고, 전초에 털이 있고 독성이 있다. 미나리아재비과 식물은 꽃 피는 시기가 다양하..

가을에 남한산성에서 피는 들꽃 6. 마디풀과 식물. 여뀌와 고마리 외

가을에 남한산성에서 피는 들꽃 6 마디풀과 식물. 여뀌와 고마리 외 * 여뀌, 바보여뀌, 개여뀌, 장대여뀌, 기생여뀌, 이삭여뀌, 넓은잎미꾸리낚시, 고마리, 며느리밑씻개 여뀌가 주종이어서 여뀌과라고도 불렀던 마디풀과는 국내에서 자생하는 마디풀에서 유래하는 과명이다. 자라는 지역을 보면 산과 들에 풀밭에서 자라는 수영, 메밀, 싱아, 범꼬리, 며느리배꼽, 닭의덩굴을 볼 수 있고, 들길이나 습지에서 볼 수 있는 소리쟁이, 여뀌, 미꾸리낚시, 고마리, 며느리밑씻개가 있다. 마디풀은 주로 길가 빈터에서 볼 수 있다. 계절별로는 수영, 소리쟁이, 범꼬리는 봄부터 여름까지 피고, 마디풀, 며느리밑씻개는 봄부터 초가을까지 핀다. 싱아나 여뀌는 여름에 주로 피며, 여름에 피어 가을까지 피는 식물로는 메밀, 쪽, 고마리..

가을에 남한산성에서 피는 들꽃 5. 콩과 식물. 나비나물과 활량나물 외

가을에 남한산성에서 피는 들꽃 5 콩과 식물. 나비나물과 활량나물 외 * 나비나물, 갈퀴나물, 도둑놈의갈고리, 개싸리, 새콩, 새팥, 활량나물, 활나물, 토끼풀, 붉은토끼풀 콩과는 재배식물인 콩에서 유래한 과명이다. 콩과는 난초과와 국화과에 이어 종이 많은 과로서 벼과와 함께 식량 자원으로 인류에게 아주 중요한 분류군이다. 콩이란 이름은 고리 또는 둥근 것을 가리키는 '고' 또는 '공'이 어원으로 둥근 것을 뜻한다. 강화도 어느 산에 갔다가 그 지역에 농사짓고 사는 분이 들에서 나는 콩을 채집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요즈음 농산물 품종이 외국기업에 돈(로얄티)을 주고 사는 것이라, 우리 것을 찾아 품종으로 개발하기 위한 것이라 하였다. 콩과 식물은 칡, 싸리, 회화나무, 자귀나무, 주엽나무 등 나무도 ..

가을에 남한산성에서 피는 들꽃 4. 국화과 식물 ③ 산국과 털진득찰 외

가을에 남한산성에서 피는 들꽃 4 국화과식물 ③ 산국과 털진득찰 외 * 산국, 감국, 포천구절초, 톱풀, 털별꽃아재비. 진득찰, 털진득찰, 도깨비바늘, 울산도깨비바늘, 코스모스, 담배풀, 긴담배풀, 여우오줌, 등골나물, 골등골나물, 서양등골나물 사람들이 들국화라 부르는 들꽃에는 보라색 꽃이 피는 개미취와 쑥부쟁이가 있고, 노란색 들꽃으로는 산국과 감국이 있다. 산국은 전국에 고루 분포하고 감국은 남쪽 지방에 많아서 중부지방에서 자라는 노란색 꽃은 산국이 대부분이다. 흰색이나 연분홍색 들국화는 구절초 계통이 많다. 진득찰과 털진득찰은 노란색 꽃에 붙은 길쭉한 총포가 바람개비처럼 생겼는데, 남한산성에는 털진득찰을 많이 볼 수 있다. 도깨비바늘과 담배풀, 긴담배풀, 여우오줌은 띄엄띄엄 볼 수 있고, 서울 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