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향 글향이 있는 산방

산을 걷고 길을 걸으며 세상을 배웁니다

향 곡 산 방 ( 鄕 谷 山 房 )

자연의 향기/숲향 이야기 199

봄날에 화전놀이 / 봄향 가득한 꽃전 · 잎전

봄날에 화전놀이 봄향 가득한 꽃전 · 잎전  삼월삼짇날은 지금은 잊힌 명절이다. 예전에는 설날, 단오 못지않은 명절이었다. 삼짇날은 음력 3.3이 되면 답청절(踏靑節)이라 하여 가까운 산이나 들로 나가 풀을 밟았다. 삼짇날은 4.4~4.5 돌아오는 청명절(淸明節)과 겹칠 때도 있다. 삼짇날 사당에 음식을 올리고 화전(花煎)을 만들었다. 화전은 꽃잎전이다. 어릴 때 큰집에 갔을 때 어른들이 들로 화전놀이 간다고 하여 솥뚜껑을 들고 따라갔다. 솥뚜껑을 돌에 얹고 불을 지펴서 진달래 화전을 만들었다.  전, 부침개, 적을 혼재해서 쓰는데, 사전에서 그 말을 찾아보았다. 전(煎)은 채소나 생선, 고기를 얇게 저며 간을 하여 밀가루와 달걀을 씌워 기름에 부친 음식을 통틀어 하는 말이고, 부침개는 기름에 부쳐서 만..

식물은 수정이 되면 어떻게 변할까?

식물은 수정이 되면 어떻게 변할까?  식물도 자식을 얻기 위해 꽃이란 생식기관을 만든다. 꽃은 꽃받침, 꽃잎, 수술, 암술, 씨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암술과 수술, 암꽃과 수꽃이 식물의 성(性)이다. 꽃은 스스로를 아름답게 만들고 향기를 내어 곤충을 부르고, 바람에 의하거나 스스로 힘에 의해 꽃가루받이를 한다. 꽃밥을 떠난 꽃가루는 꽃가루받이를 하면 발아하여 꽃가루관이 된다. 꽃가루관은 암술대를 뚫고 들어가 밑씨주머니와 연결된다. 이때 정핵이 분열되며 알세포와 극핵과 결합하는 것이 수정이다. 수정 후 세포 분열하고 조직을 만드는 과정을 거친다. 그런 과정을 거치며 수정을 한 식물은 외부에서 보면 그 변화를 알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수정이 되면 꽃은 시들고, 씨방이 자라며 열매가 된다. 사과꽃은 수정..

개미지옥과 개미귀신 / 명주잠자리 애벌레가 파 놓은 함정

개미지옥과 개미귀신명주잠자리 애벌레가 파 놓은 함정  지옥은 죄지은 사람이 가는 곳이고, 귀신은 형체가 있는지 없는지 모르지만 혼을 빼어놓는 무시무시한 존재로 얘기한다. 지구상 생물 중에 가장 많이 사는 개미에게 지옥이 있고, 귀신이 있다. 산에 가다가 나무나 바위 밑에서 곱게 체로 친 듯한 마른 흙을 깔때기 모양으로 파놓은 구멍이 있다. 바닷가 사구 한쪽에도 그렇게 파놓은 구멍을 이따금 볼 수 있다. 그 구멍이 개미지옥이라는 함정이다. 그 구멍 바닥 밑에 명주잠자리 애벌레인 개미귀신이 숨어 있다.  명주잠자리는 잠자리가 아니다. 풀잠자리무리에 속하며 육식을 하여 잠자리란 이름을 붙였을 뿐이다. 잠자리는 날쌔고 더듬이가 털처럼 짧은데, 명주잠자리는 행동이 둔하고 더듬이가 길고 몸은 더 가늘다. 잠자리는 ..

소나무 그늘에도 살 수 있는 식물

소나무 그늘에도 살 수 있는 식물진달래, 철쭉, 비비추, 맥문동, 둥굴레, 원추리 … 단풍나무, 잣나무, 소나무 밑에는 다른 식물이 자라는 것을 보기 어렵다. 산에 다녀 보면 참나무류 아래서도 풀이 없고 낙엽만 수북하다. 잎에 들어 있는 성장억제물질 때문이다. 그런 나무들 주변에서 다른 종의 물질이 살지 못하도록 생장을 억제하는 작용을 '타감작용(Alleopathy)'이라 한다. 소나무는 뻗어나간 뿌리에서 싹이 올라오지 않는다. 나무를 베고 나면 더 이상 싹이 올라오지 않는 유일한 나무가 소나무이다. 나무를 베거나 설해(雪害)를 입은 소나무는 새로운 줄기를 만드는 것을 거부한다. 원래 자랐던 줄기가 없어지면 그냥 받아들이며 살아가거나 죽는다. 소나무가 번식을 하는 방법은 씨앗뿐이다. 소나무 숲은 건..

식물이 알려주는 계절 변화 신호

식물이 알려주는 계절 변화 신호 우리 조상들은 가까이 있는 식물의 변화를 보고 계절의 변화를 알았다. 겨울이 지나면 매서운 추위를 이기고 향기로운 꽃을 피우는 꽃이 매화이다. 그래서 매화를 꽃의 선두주자라 하고 춘풍제일지(春風第一枝)라 한다. 매화가 필 즈음에 울밖에서는 산수유 꽃이 피고, 산자락엔 생강나무 꽃이 핀다. 살구꽃은 집 부근에서 봄을 알리는 꽃이다. 음력 2월이 되면 연분홍색 살구꽃이 핀다. 그래서 이월에 대한 별명을 행월(杏月)이라 했다. 청명에 내리는 봄비가 행화우(杏花雨)라면 배꽃 필 때 내리는 비는 이화우(梨花雨)이다. 음력 춘삼월은 복사꽃이 피어 복사꽃도 봄을 대표한다. 벚꽃이 지면 찻잎을 따기 시작한다. 곡우(穀雨. 4.19경) 이전에 따는 차를 우전차(雨前茶)라 하여 고급차로 여..

북극 한파에 캐나다거위가 날아갔다

북극 한파에 캐나다거위가 날아갔다 - 미국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 호수에서 미국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West Lafayette)은 미국 중동부 시카고에서 승용차를 타고 남쪽으로 2시간 반 가량 가는 곳이다. 위도가 북위 40.3도인 이곳 겨울 날씨는 습윤 대륙성기후 영향을 받아 바람이 불면 스산하다. 우리나라가 겨울 추위를 겪을 때 시베리아 바람이 불어 춥다고 하는데, 이곳은 미시간호 바람이 불어서 춥다고 말한다. 호수에는 캐나다거위 200여 마리가 살고 있다. 보통 거위는 집에서 사육을 하는데, 캐나다거위는 야생이고 텃새이다. 호수가 비좁을 정도로 몸집이 커서 키는 40㎝, 몸길이는 1m나 된다. 부근 습지 셀러리 보그에서는 캐나다거위가 안 보인다. 남획을 하고, 알을 가져가고, 서식지가 마땅찮아 ..

셀러리 보그 / 미국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에 있는 습지

셀러리 보그 (Celery Bog) 미국 인디애나주 웨스라피엣에 있는 습지 미국 중동부 시카고에서 남동쪽으로 167㎞ 내려가면 인디애나주에 작은 도시 웨스트라피엣(West Lafayette)이 있다. 웨스트라피엣은 세계 유수의 명문대 퍼듀대학교가 있는 곳이다. 여러 분야에서 13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연구중심 대학이다. 항공학은 세계 최초로 생겨, 아폴로호를 타고 달에 처음 착륙한 우주비행사인 닐 암스트롱 등 많은 항공 전문가를 배출하고 미국항공산업을 이끌고 있다. 시카고에서 이곳까지 가는 동안 산이라고는 구경할 수 없고, 넓은 옥수수밭이 대부분이다. 웨스트라피엣은 와비쉬강을 사이에 두고 라피엣과 마주 보고 있다. 캠퍼스 안은 활기차지만 학교 밖 주거지는 한적하고 대부분 단층 나무집이다. 대학도시 ..

고사목 (枯死木) / 먹이가 되고 은신처가 되고 흙이 되고

고사목 (枯死木) 먹이가 되고 은신처가 되고 흙이 되고 고사목(枯死木)은 말라죽은 나무다. 고사목은 생태적 수명을 다한 것이다. 사람이 나이가 들면 몸이 늘어나듯 나무도 그러하다. 나무는 나이가 들면서 광합성을 못하는 부위가 늘어나기에 광합성을 하는 수관 부위를 늘린다. 이에 비해 뿌리 쪽은 일정 넓이를 확보한 뒤로는 흡수기능을 높이기 위해 기존 뿌리를 고사시키고 새 뿌리로 교체한다. 뿌리가 늘어나지 않으니 형태가 불균형이 생긴다. 그래서 외부 요인에 의한 충격이나 교란요인이 있으면 버티지 못한다. 산에는 세월을 이기지 못한 고사목이 많다. 세월을 이길 생물은 없다. 그러나 고사목은 넘어졌다고 삶의 인연을 다 마친 것이 아니다. 고사목은 그 자체가 먹이가 되고 은신처가 되어 동물들을 모은다. 고사목은 다..

2023년 '올해의 꽃'

2023년 '올해의 꽃'            세상에 온 꽃 한 송이                                                                             향곡    세상에 나서 난 자리 눌러 살다가    넓은 세상으로 향기를 풀어냅니다.     바람 따라 그리운 사랑을 찾아    아름다운 인연을 만나는 것이지요    내 바라던 고운 꿈 하나를 얻어    꽃이 지는 것은 쉬는 것입니다.    향기를 지우고 흙으로 돌아가     세상에 발을 뻗고 잠 드는 것이지요.                                          ♤ 세복수초 (미나리아재비과) : 복수초는 한자어 복수초(福壽草)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복과 장수를 축원한다는 뜻이다. 세복..

사군자(四君子)가 군자(君子)인 이유

사군자(四君子)가 군자(君子)인 이유 군자(君子)의 군(君)은 '크고 위대하다'는 뜻이고, 자(子)는 '사람'이다. 군자는 말 그대로 한다면 임금의 아들이지만, 공자는 군자의 모습을 새로운 인간형으로 변모시켰다. 유교에서 군자는 도덕적으로 완성된 인격자를 말한다. 요즈음으로 말하면 덕성을 겸비한 지성인이다. 군자와 선비는 같은 의미로 해석한다. 군자는 평생 배우고, 보편성을 추구하고, 바른 것을 실천하고, 주관을 가지되 화합하는 사람이다. 군자는 노력하는 리더이며, 모든 것에 본보기가 되는 사람이 군자이다. 식물에 사군자가 있다. 매화(梅), 난초(蘭), 국화(菊), 대나무(竹)를 이른다. 식물에 인격을 부여하였다. 식물을 벗으로 삼은 선인들도 있다. 매화나무는 매서운 추위에도 일어나 향기로운 꽃을 피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