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향 글향이 있는 산방

산을 걷고 길을 걸으며 세상을 배웁니다

향 곡 산 방 ( 鄕 谷 山 房 )

분류 전체보기 2673

소요산 / 경기 소금강

소요산(587) 경기 소금강 경기도 동두천시 (2017.6.24. 흐린 후 한 때 비) 소요산역-일주문-원효대-자재암-나한대-의상대-샘터-일주문-소요산역 이동거리 7.6㎞. 이동시간 3:40. 휴식시간 1:30. 계 5:10 소요산은 경기의 소금강으로 일컸는다.자재암 뒤로 하백운대, 중백운대, 상백운대가 있고, 건너로는 원효대, 나한대, 의상대가 있다. 절 뒤로는 구름이 머문 곳이요, 절 앞은 수행자의 이름을 붙였다. 일주문을 경계로 왼쪽은 천상의 영역이요, 오른쪽은 수행의 공간이다. 김시습은 이곳에 와서 '길따라 계곡에 드니 봉우리마다 노을이 곱다' 하였고, 고려말 고승 보우대사는 '소요산 위 흰구름은 달과 함께 노닌다' 하였는데, 절 뒤 백운능선에 오르면 그렇게 느낄만하다. 우리는 길을 줄여 절 앞 ..

옥산-소구니산-마유산 / 농다치고개를 넘나드는 산

옥산-소구니산(798)-마유산(유명산. 861) 농다치고개를 넘나드는 산 경기도 양평, 가평 (2017.6.17) 양평 한화리조트-옥산-농다치고개-소구니산-마유산-유명산자연휴양림-버스종점 이동거리 10㎞. 이동시간 4시간 50분. 휴식시간 2시간 10분. 계 7시간 열차가 지연되어 버스를 놓치고, 연이어 길을 잘못 들었다. 이래저래 산행시간이 길어졌다. 길을 잘못 든 옥산에서는 한삼, 고마리 등 가시가 많은 들풀 덩굴이 이리저리 길을 막는다. 오늘은 훼방꾼들이 많다. 요즈음 들꽃이 적은 계절이긴 하지만, 그것을 감안하더라도 이곳 들꽃은 적은 편이다. 싸리꽃이나 꿀풀이 가끔 보인다. 꽃이 아름다운 것은 살아가기 위한 방식이다. 또한 식물은 곤충과 싸우고 상부상조하며 사는 것인데, 이곳에는 그 연관고리가 느..

고무신 / 추억에 신발

고무신 추억에 신발 학교 다닐 나이에 신은 신발이 검정 고무신이었다. 흰 고무신은 내가 검정 고무신을 신은지 얼마 안 있어 나왔다. 타이어표, 왕자표, 기차표, 말표가 그 당시 신었던 고무신 상표였다. 고무신은 질겨서 그야말로 만년 신발이었다. 새 고무신은 뒤가 물려서 발에 맞으려면 시간이 필요했다. 집에서는 고무신을 신고, 학교 갈 때는 까만 운동화를 신었는데, 운동화가 섞이지 않게 운동화 앞에 있는 하얀 천에다가 이름을 써서 다녔다. 국민학교 다닐 때 우리 집에는 수도가 들어오지 않았다. 학교를 파하면 동생과 언덕 아래에 있는 공동수도로 내려가서 물을 날라서 먹었다. 큰 물동이에 막대기를 끼고 언덕을 올라오다가 물이 출렁출렁 넘쳐 고무신에 물이 들어가면 뽀르락뽀르락 소리가 났다. 그렇게 한 두멍을 가..

익선동 골목길 /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곳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곳 익선동 골목길 서울 종로구 익선동 (2017.6.14) 익선동은 인사동과 낙원동에 머리를 맞대고 있다. 종로3가에 있는 낙원상가 동쪽이 익선동이다. 익선동(益善洞)은 조선시대에 이 지역 정선방(貞善坊)에 철종의 형인 영평군(永平君)이 살던 누동궁(樓洞宮)이 있었다. 조선 한성부는 모두 5부(部) 52방(坊)이 있었다. 부(部)는 요즈음으로 말하면 구(區)이고, 방(坊)은 동(洞)이다. 5부 중 중부(中部)에 정선방이 있었다. 궁이나 객사의 가운데 집을 정당(政堂)이라 하였고, 곁집인 행랑을 지었는데, 좌우에 붙여 지은 곁채를 익랑(益廊)이라 하였다. 우리 말로 풀자면 날개집이다. 그 궁에 행랑인 익랑(益廊)이 있어 익랑골이라 불렀던 곳이다. 일제 시대에 익랑골의 '익', 정선방..

참조팝나무 / 대간 높은 산에서 볼 수 있는 들꽃

참조팝나무 대간 높은 산에서 볼 수 있는 들꽃 과 : 장미과 형태 : 낙엽활엽관목 개화 : 5~7월 결실 : 9~10월 분포 : 평안, 강원, 백두대간 능선, 중국 조팝나무는 전국의 산과 들에 흔하다. 논둑과 밭둑에서도 한쪽에 이따금 자란다. 조팝나무는 원래 잎이 짧고 꽃도 잎만큼 작아서 줄기에 열을 지어 휘휘 늘어지게 핀다. 봄부터 여름까지 줄기차게 핀다. 조팝나무는 종류도 많아 갈기조팜나무나 인가목조팝나무는 꽃이 줄기에 넓게 피어나서 윤이 날 정도이다. 조팝나무 중에는 아무래도 꼬리조팝나무가 연분홍 자태나 수술로 수놓은 모습이 아름답다. 별주부가 나오는 토끼전에 거북이가 토끼간을 구하러 육지로 나왔다가 그곳에서 조팝나무를 보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토끼간도 약이지만 요즈음 보면 조팝나무가 더 큰 약이 ..

쉬땅나무 / 꽃차례가 수수 이삭 같은 나무

쉬땅나무 꽃차례가 수수 이삭 같은 나무 과명 : 장미과 형태 : 낙엽활엽관목 개화 : 6~7월 분포 : 우리나라 중북부, 중국, 일본, 극동러시아중국, 일본, 극동러시아 용도 : 관상용, 울타리, 식용, 약용 설악산에 가기 위해 인제 용대리에서 버스를 타면 백담사 앞에서 내린다. 여름에 그곳에 내리면 백담사와 백담계곡 갈림길에 사람 키보다 조금 더 큰 나무에 탐스런 하얀 꽃을 피우는 쉬땅나무가 있다. 쉬땅나무는 늘 그곳에서 설악산을 오르는 산객을 반긴다. 마치 부인들이 레이스를 단 옷처럼 화려한 모습이다. 꿀이 많아서 곤충도 늘 붙어 있다. 나뭇잎이 한창 푸른 계절에 쉬땅나무 꽃도 그때가 한창이다. 평안도 사투리로 수수깡을 쉬땅이라 한다는데, 꽃차례가 지고 나서 멀리서 보면 수수이삭 같다고 하여 붙인 이..

무의도 호룡곡산, 국사봉 / 인천공항에서 가는 섬산행

무의도 호룡곡산(245.6), 국사봉(236) 인천공항에서 가는 섬산행 인천 중구 (2017.6.10) 샘꾸미 - 호룡곡산 - 하나개해수욕장 갈림길 - 국사봉 - 큰무리선착장 이동거리 약7㎞. 이동시간 2시간 47분. 휴식시간 1시간 20분. 계 4시간 7분 무의도 가는 배는 잠진도에서 떠난다. 인천국제공항에서 잠진도 가는 도로가 차로 막혀 잠진도 입구부터 꽉 찼다. 시내버스를 탔으니 잠진도선착장까지 들어갈 수 있었다. 섬 사이는 워낙 가까워서 돌을 힘껏 던지면 닿을만한 거리다. 선실에 배낭을 풀어놓고 잠시 바깥을 보려고 나왔더니 벌써 무의도다. 잠진도와 무의도 사이에는 다리를 놓고 있었다. 이 다리가 내년 8월에 완공한다니 배를 타고 가는 무의도 섬산행은 조만간 없어질 일이다. 다리 건설로 이곳 여행객..

북한산둘레길 1-3. 불광동에서 효자동까지 (8~10구간)

북한산둘레길 1-3 불광동에서 효자동까지 (8~10구간) 북한산 생태공원-진관사입구-백화사-효자동 공설묘지-관세농원 2017.6.5. 맑음. 16.4~30.3℃ 이동거리 10㎞. 불광동에서 북한산둘레길을 들어서면 구름정원길 구간이다. 산을 밟고 오르면 구름을 내려다보는보는 곳이라 지은 이름이다. 숲길 사이로 아파트들이 보이고, 하늘전망대와 데크가 숲길을 지나가며 하늘과 숲을 지난다. 지금 계절에 이곳은 볕이 따갑다. 빛은 숲과 숲에 있는 뭇 생명에게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날은 가물어 냇가는 물빛이 조금 남아 있을 뿐이다. 사람은 물이 없는 냇가에서 농수를 찾고 있었다. 누구는 물줄기를 찾고, 누구는 물을 내보내고 세상이 그렇다. 진관사 입구를 지나는 마실길은 나무가 없는 도로길이라 햇볕은 더 강렬하다...

평화누리길1 염하강철책길 / 대명항에서 문수산성까지

평화누리길1 염하강철책길 / 대명항에서 문수산성까지 경기도 김포시 (2017.5.29. 맑음. 15.4~24.9℃) 대명항-덕포진-손돌묘-부래도-쇄암리전망대-김포CC-강화대교-문수산성 남문 (14㎞. 4시간) DMZ트레킹길이라 부르던 것이 평화누리길로 바뀌었다. 김포지역 평화누리길은 염하강철책길,조강철책길,한강철책길로 모두 철책을 따라 걷는다. 그 중 대명항에서 문수산성까지 걷는 염하강철책길을 걸었다. 염하강(鹽河江)은 강화와 김포 사이를 흐르는 해협인데, 풀어쓰면 소금강이다. 이름은 강이고 실체는 바다다. 강화해협이라고도 부른다. 해협의 너비는 좁게는 200여m 넓게는 1㎞, 길이는 20㎞로 물살이 세다. 병인양요 신미양요의 격전이 있었고, 한국전쟁 이전에는 남북을 오가는 배가 다녔고, 지금은 이 부근..

이화동 벽화마을 2 / 색깔이 있는 풍경

이화동 벽화마을 2 색깔이 있는 풍경 서울 종로구 이화동 (2017.5.24) 이화동 벽화마을을 두어 번 찾아가서 골목과 특색있는 벽화를 본 적이 있었다. 이번에는 색깔을 주제로 찾았다. 산을 계절별로 찾아가면 보는 풍경이 다 다르듯, 같은 내용도 보는 각도에 따라 보는 내용이 다 다르다. ※ 교통편 : 4호선 혜화역 2번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