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향 글향이 있는 산방

산을 걷고 길을 걸으며 세상을 배웁니다

향 곡 산 방 ( 鄕 谷 山 房 )

분류 전체보기 2672

광대노린재와 회양목명나방 / 회양목을 좋아하는 곤충

광대노린재와 회양목명나방 회양목을 좋아하는 곤충 곤충이나 새들은 자기가 좋아하는 식물이 있다. 그래서 그 곤충을 구경하자면 그 식물을 유심히 관찰하면 된다. 광대노린재는 등나무, 참나무. 층층나무도 좋아하는데 특히 회양목을 좋아한다. 식물의 즙을 빨아먹고 산다. 광대노린재는 광대가 얼굴에 물감으로 무늬를 그린 듯하여 붙은 이름이다. 모양을 내고 보석처럼 색깔이 화려하다. 광대노린재는 낙엽 밑에서 월동하였다가 4~5월이면 어른벌레로 나타난다. 봉화산 유아 숲 체험장에 갈 일이 있어서 현장 선생님들과 체험 학습물인 노린재 먹이로 떡갈나무 여린 잎을 구하러 다녔다. 다녀오는 길에 회양목에서 광대노린재를 또 만났다. 회양목을 참으로 좋아하는 곤충이다. 회양목은 사시장철 있으니 먹을 걱정이 없겠다. 참으로 복도 ..

매발톱나무 / 매발톱처럼 예리한 가시가 있는 나무

매발톱나무 매발톱처럼 예리한 가시가 있는 나무 과명 : 매자나무과 개화 : 5~6월 결실 : 9~10월 높이 : 2~3m 매발톱나무 / 설악산 (2010.10.17) 매발톱은 이름만 들어도 날카로움에 섬뜩하다. 금방 공격이라도 받을 것 같다. 식물에 그런 이름을 가진 것이 있다. 눈으로 직접 보지 않더라도 이름만으로 생김새를 짐작할 수가 있다. 매발톱 이름을 가진 식물은 미나리아재비과 여러해살이풀인 매발톱이 있고, 나무로는 매자나무과인 매발톱나무가 있다. 풀인 매발톱이 안으로 굽은 꿀주머니 모양이 움켜쥔 매발톱을 닮은 것이라면, 매발톱나무는 잎자루 쪽에 있는 예리한 가시를 매의 발톱에 비유하였다. 수년 전 늦가을 설악산 공룡능선에 갔을 때 매발톱나무를 본 적이 있었다. 가시는 날카로웠고 타원형으로 길쭉하..

자벌레의 헛다리 걸음

자벌레의 헛다리 걸음 자벌레는 자나방의 애벌레다. 녹색이나 회갈색을 띤 몸뚱이를 구부렸다가 펴며 기는 모습이 특이하다. 마치 자로 재는 듯이 기어 자벌레란 이름이 붙었다. 나비목 애벌레는 다리가 8쌍인데. 나방 애벌레도 같다. 머리 부분에 3쌍, 가슴 부분에 4쌍, 배부분에 1쌍으로 구성한 다리가 정상적이라면 그렇게 기지는 않을 것이다. 자벌레는 8쌍 중 3쌍이 퇴화되어 5쌍이 남아 있다. 헛다리로 기는 다리가 있어 구부정한 걸음이 되었다. 배다리 한쌍은 꼬리 쪽에 붙이고, 퇴화한 다리는 꺾어 기어서 걸음은 더 빨라진다. 자벌레의 헛다리 걸음의 비밀이 여기에 있다. 이것은 자벌레가 최선을 다해 걷는 걸음이요, 자벌레로 봐서는 정상 걸음이다. 이 시간도 잠시요. 자나방으로 우화(羽化)하여 훨훨 날아다닐 수..

돌배나무를 사랑하는 이유

돌배나무를 사랑하는 이유 식물 이름에 돌이 들어간 것은 야생이란 뜻이다. 돌배는 열매는 작아도 향기롭고 맛은 시면서도 달다. 그래서 ‘떫은 배도 맛들일 탓이다.’란 속담이 있다. 돌배나무는 삼한시대부터 재배하였는데, 우리가 요즈음 먹고 있는 배는 품종 개량한 일본배다. 일본배는 한일합방 직전에 들어왔는데 서울숲 부근에 시험재배장이 있었다. 배는 꽃이 잎보다 미리 나오는데, 몇 년 전에는 배꽃이 필 때 날씨가 추워서 벌이 나오지 않았다. 벌이 안 오면 배 과수원에서는 붓으로 일일이 묻혀 꽃가루받이를 한다. 사람이 하는 꽃가루받이는 한계가 있어 배 값이 비쌌다. 그래서 다들 '금배'라고 불렀다. 금배라도 제사 지낼 때는 과일은 꼭 놓는다. 과일에도 계급이 있어서 배는 씨가 6개라 6판서를 나타낸다는데, 배를..

버드나무는 물과 바람의 나무다

버드나무는 물과 바람의 나무다 버드나무 / 마현마을 (경기도 남양주시. 2016.4.7) 버드나무는 암수 딴 그루로 암나무에는 암꽃이 수나무에는 수꽃이 핀다. 솜털을 날리는 것이 암나무다. 꽃을 들여다 보면 강아지풀처럼 생겨 작고 가느다랗다. 벌써 봄바람에 씨앗을 다 날려보냈는지 열매는 말랐다. 버드나무는 벌레가 모여드는 충매화여서 꽃가루를 날려보내지는 않는다. 솜털같이 날아다니는 것은 꽃가루가 아니라 버드나무 씨앗인데, 사람들은 꽃가루가 날린다고 한다. 꽃가루 알레르기에 대해 과민반응이거나 모르고 얘기한 것일 것이다. 버드나무는 가지가 부드럽다고 부들나무가 버들나무가 되었다가 버드나무가 되었다. 가지는 부드러우면서도 질겨서 좀처럼 꺾이지 않아 '버들가지 바람에 꺾일까?' 라는 속담도 있을 정도다. 가지..

양평 물소리길 / 양수역에서 신원역까지 걷는 문화유적길

양평 물소리길 양수역에서 신원역까지 걷는 문화유적길 양수역- 양수리성당-한음 이덕형신도비-몽양 여운형기념관-신원역 이동 거리 9.5㎞. 이동시간 3:00. 휴식시간 1:30. 계 4:30 (2019.6.4) 양평 물소리길 중 문화유적길로 명명한 길을 걸었다. 6월 초가 되니 햇살이 따갑다. 길가에 느티나무는 큰 몸통 위쪽을 다 베고 그늘이 없다. 어떤 곳은 논 쪽 가지는 베고 반대쪽 가지만 남은 기형이 되어 서 있다. 기형도 보통 기형이 아니다. 아마도 농사에 영향이 있다고 민원이 들어간 모양이다. 오디를 따먹으며 그렇게 4㎞를 뙤약볕 길을 걸었다. 한참을 걸어가니 여러 나무들이 도열한 곳이 나타났지만 이미 도로쪽 길은 끝나고 있었다. 양주(楊州), 양평(楊平), 양구(楊口)는 버드나무가 많다고 버들 양..

로제트식물에는 겨울나기 전략이 있다

로제트식물에는 겨울나기 전략이 있다 식물 중에는 민들레처럼 줄기를 곧바로 세우지 않고 땅에 바짝 붙어서 바닥에서 방석을 펼치듯 크는 식물들이 있다. 이렇게 방사선 잎을 펼치는 식물을 로제트식물(rosette plant)이라 부른다. 로제트란 말은 편평하게 장미꽃 모양으로 잎을 펼쳐서 자란다고 붙은 이름이다. 민들레, 냉이, 달맞이꽃, 꽃마리, 질경이, 뽀리뱅이가 그런 류의 식물이다. 일반적으로 두해살이 풀이 겨울을 나기 위해 로제트 잎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로제트식물들은 대부분 키가 작고, 이른 봄에 희거나 노란색 꽃을 피운다. 땅에 바짝 붙어 있는 것은 추운 겨울에 바람을 피하고 햇볕을 더 받기 위해 서다. 땅에 바짝 붙어 있으면 수분의 증발도 줄이고 지열도 받을 수 있다. 그래서 봄에 나와 싹을 틔..

때죽나무 / 작은 종모양 하얀 꽃, 반질반질한 회색 열매

때죽나무 작은 종모양 하얀 꽃, 반질반질한 회색 열매 때죽나무과 개화 5~6월 결실 : 9~10월 때죽나무 / 서울창포원 (서울 도봉구. 2019.5.20) 때죽나무는 쪽동백나무와 구별이 쉽지 않다. 나무 공부를 하자면 구분에 애를 먹이는 나무 중에 하나다. 쪽동백나무(때죽나무과)와 비슷해서 쪽동백나무의 강원도 방언인 때죽나무로 부르던 것이 이름으로 자리 잡았다는 유래가 있다. 때죽나무와 쪽동백나무는 주로 잎과 꽃으로 구분한다. 때죽나무 잎은 길쭉하고, 쪽동백나무 잎은 달걀 모양으로 둥글다. 잎이 넓은 것이 쪽동백이다. 때죽나무 꽃은 잎겨드랑이에 2~4개씩 달리는데, 쪽동백보다는 길고 가는 꽃자루에 종모양으로 달려서 퍼진 듯이 보인다. 꽃은 그리 오래 피지 않기에 부지런히 찾아다녀야 볼 수 있다. 그 뒤..

서삼릉과 원당종마목장길 / 은사시나무 언덕길을 넘어가는 왕릉

서삼릉과 원당종마목장길 은사시나무 언덕길을 넘어가는 왕릉 서삼릉입구-종마목장-서삼릉-서삼릉입구 거리 5.4㎞. 3시간 / 경기도 고양 (2019.5.16. 맑음) 예전에 파주 용미리에 있는 외할머니 산소에 가려면 구파발에서 삼송리를 지나서 갔다. 그 때 삼송리는 한갓진 곳이지만 외곽으로 가..

미스김라일락 / 우리나라가 자생지로 역수입하여 돌아온 나무

미스김라일락 우리나라가 자생지로 역수입하여 돌아온 나무 미스김라일락 / 유명산 휴양림 (경기도 가평. 2019.5.11) 수수꽃다리꽃은 코끝에 스치는 향기가 은은하다. 아침이나 밤엔 향기가 더 짙어서 발길을 머물게 한다. 영어로는 라일락이고, 프랑스어로는 리라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노래 '베사메 무초'에서 '리라꽃 피는 밤에 / 리라꽃 향기를 나에게 전해 다오' 하는 가사가 있다. 사랑하는 여인을 이 꽃에 비유하여 사랑의 마음을 전하였다. 라일락이란 이름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파랗다(blue)는 뜻이다. 당시에는 색상 때문에 생긴 이름인데, 지금은 보라색, 흰색, 분홍색 꽃잎이 핀다. 학명은 시링가(siringa)로 '구멍이 뚫린 파이프'란 뜻인데, 실제로 라일락 나무 줄기로 담배파이프를 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