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향 글향이 있는 산방

산을 걷고 길을 걸으며 세상을 배웁니다

향 곡 산 방 ( 鄕 谷 山 房 )

분류 전체보기 2670

백령도 6. 연화리 낙조

백령도 6. 연화리 낙조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연화리 (2008.12.2) 파랑주의보 발효로 배가 뜨지 못하여 백령도에서 하루 더 묵게 되었다. 백령도에서 안개 끼고 바람 부는 날이면 관광객은 꼼짝 못 하고 발이 묶이게 된다. 안개 끼는 날이면 군함도 움직이지 못한다니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며칠 배가 뜨지 못하여 나가는 배표를 구하느라 사람들이 동분서주 하였다. 다행히 배표를 미리 구해 놓고 연화리로 낙조를 보러 갔다. 삼국유사를 보면 신라 진성여왕 때 당나라 사신으로 가던 왕자가 풍랑을 만나 백령도에서 묵으면서 바다를 잠재워 달라고 연지에서 제사 지낸 기록이 있다고 한다. 예부터 백령도 부근엔 풍랑이 잦았던 모양이다. 백령도에는 연꽃과 관련되는 이름이 많다. 심청이 인당수에 몸을 던져 환생하였다는..

백령도 5. 두무진 / 서해 해금강

백령도 5. 두무진(頭武津) 서해 해금강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연화리 (2008.11.30-12.2) 두무진은 백령도 서북쪽에 있는 포구로 백령도 제1 명승지요, 서해의 해금강이다. 두무진이란 이름은 뾰족한 바위가 많아 생긴 모습이 머리털과 같다고 하여 맨 처음엔 두모진(頭毛鎭)이라 하였다가, 장군머리와 같다 하여 두무진(頭武津)으로 바꾸었다. 러일전쟁 때는 일본이 병참기지로 썼는데, 지금은 서해 최북단에서 정중동의 의미 있는 포구로 남아있다. 사암과 규암으로 된 바위층은 층리가 이루어져 바다가 물결치듯 아름다운 모습을 나타낸다. 수억 년 동안 코끼리바위 장군바위 선대바위 신선대 형제바위가 철석이는 파도소릴 들으며 서 있다. 두무진 바위틈에 서면 세상에 지은 때를 철석철석 바다에 풀어낼 수가 있다. ..

백령도 4. 북포리 남포리 포구

백령도 4. 북포리 남포리 포구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2008.12.1-12.2) 백령도에서 제일 높은 곳은 해발 184m이다. 그래서 따로 산을 탄다는 표현을 하긴 좀 뭣하다. 하지만 섬 곳곳이 아담한 포구가 있어 주민들이 먹고 살 어업자원을 충족할 수가 있다. 물론 전체 주민 중 농가가 34%이고 어가가 15%여서 섬이라는 지형을 생각하면 상대적으로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많은 편은 아니다. 이곳 소득은 높은 편이라 한다. 농업을 하더라도 농휴기에 미역을 따거나 굴을 딸 수 있는데, 물이 빠질 때 몇 시간 굴을 딴다면 하루 6만 원 정도 벌이는 된다고 한다. 관광으로 벌어먹고 사는 인구가 많고 더불어 농어민 소득도 높아지는 셈이다. 백령도엔 황해도가 옛 생활근거지여서 그러한지 면을 파는 음식점..

백령도 3. 사곶해변과 콩돌해안

백령도 3. 사곶해변과 콩돌해안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2008.12.1-12.2) 용기포항에서 내리면 바로 앞에 있는 해변이 사곶해변이다. 모래벌이 돌출한 해변이라 사곶이다. 천연기념물(391호)로 지정된 사곶해변은 모래벌 3㎞가 미세한 석영으로 되어 있는 단단한 곳이라 자동차가 지나가도 바퀴가 빠지지 않는다. 그래서 6.25 전쟁 때는 천연비행장으로 썼다는 것이다. 이러한 천연비행장은 이탈리아 나폴리와 더불어 세계에서 두 곳 밖에 없는 아름다운 곳인데 최근 담수호를 막는 바람에 오염이 되기 시작하였다는 주민들의 얘기다. 물을 먹은 모래는 자동차가 거뜬히 지나갈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곳은 바퀴가 빠지게 되는데, 우스개 얘기로 한밤중 주민 눈을 피해 사곶해변에서 자동차로 데이트하던 선남선녀가 마른 ..

백령도 2. 용기포와 용기원산

백령도 2. 용기포와 용기원산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2008.12.2-12.3) 백령도 유래 전설에 의하면, 황해도 어느 마을에 글 공부하는 선비와 사또의 딸이 사랑을 하였다. 선비를 못마땅히 여긴 사또가 딸을 멀리 섬으로 보내버렸다. 수소문하던 선비 앞에 하얀 학이 나타나 딸이 있는 곳을 일러주었다는데, 이 섬에 하얀 학이 인도하였다 하여 백학도(白鶴島)라 하였다가, 지금은 흰 백(白) 날개 령(翎)을 써서 백령도라 부른다는 얘기이다. 또 한편으로는 원래의 이름은 따오기(鵠)가 날개를 편 형상이라 곡도(鵠島)라 하였는데 백령도로 바꾸었다는 것이다. 실제 지도를 펴 놓고 보면 따오기가 날개를 펴고 있는 모양과 같다. 백령도에 여객선이 처음 닿는 곳이 용기포항이다. 옛날에 용기포에 살던 용과 바다 건..

백령도 1. 북녘땅이 가장 가까운 곳

백령도(白翎島) 1. 북녘 땅이 가장 가까운 곳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2008.12.1-12.2) 백령도는 우리나라 서해 북쪽 끝에 있다. 인천에서 배를 타고 5시간 가야 닿는 섬으로 인천에서 228㎞이고 황해도 장연 땅에서는 17㎞로 북한 땅이 더 가까운 곳이다. 면적은 여의도 보다 6배 정도 되는 51㎢로 우리나라에서 여덟 번째 큰 섬이다. 원주민은 황해도 말씨를 쓰고 있으며 옛날엔 생활근거지가 장연땅이었다. '장산곶 마루에 북소리 나더니 금일도 상봉에 님 만나 보겠네' 몽금포 타령에 나오는 장산곶이 보인다. 멀리 삐죽 나온 것이 우리나라 팔경 중에 하나인 코끼리바위리라. 장산곶은 산줄기가 서해 깊숙이 뻗었다 하여 長山이란 이름을 얻었는데, 앞바다엔 물살이 쌔서 배들이 난파하는 일이 잦다는 인당..

서해 푸른 섬 대청도

대청도(大靑島) 서해 푸른 섬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 (2008.11.30) 인천에서 202㎞ 뱃길 따라 5백 리 4시간여 배를 타고 가면 백령도 아래 대청도가 있다. 면적 12.6㎢ 인구 1600여명이 척박한 농토 속에 어업으로 업을 삼고 있는 곳이다. 신석기시대부터 사람이 살았고 고려말에는 원나라 태자가 귀양을 왔던 외진 곳이다. 한 때 홍어잡이 풍어로 깃발을 날렸으나 요즘은 많이 시들해졌다고 한다. 군사분계선이 가까이 있고 대부분 산으로 되어있는데 이곳 삼각산(三角山 343m)은 옹진군에서 가장 높은 산이기도 하다. 선진포구에서 내려 삼각산 정상에 올라서니 남으론 소청도 북으론 백령도가 보이고 동으론 북한 장연땅이 산으로 막아서 길게 늘어져 있다. 서쪽으론 아름다운 사탄동해안이 하얀파도로 물결치고..

북한산 / 아름다운 바위능선 응봉

아름다운 응봉능선 북한산 응봉 서울 종로구,은평구 (2008.11.23) 구기동-승가샘-사모바위-응봉능선-응봉(323)-진관사(3시간반) 가는 가을을 아쉬워 하는듯 산 오르는 사람이 많아 사모바위 부근은 앉을 자리가 없다. 사모바위에서 응봉능선 가는 길은 1968년 북한 124군부대가 청와대 습격 후 28년간 가지 못하던 산길이었는데, 이제는 사모바위 부근은 조망을 즐기며 쉬어가는 평평누대가 되었다. 응봉이란 이름은 서울에만 여러 군데 되고 전국 지명이나 행정동명 까지 무수히 많다. 날짐승인 '매'는 한자로는 응(鷹)이지만, '뫼'를 '메' 또는 '매'로 불러 매가 산이라는 주장도 있다. 따라서 매봉은 산모양이 매를 닮았거나 매를 놓아 기른 산이 될 수 있고, 단순히 산이란 의미가 되어 매를 한자말로 바..

가을 깊은 북한산

가을 깊은 북한산 북한산 향로봉, 비봉 서울 (2008.11.16) 진관사-향로봉(535)-비봉(560)-사모바위-승가샘-구기동(3시간50분) 어제 내린 비로 낙엽이 젖고, 산골짝 들어서니 손이 시리다. 가을이 깊어질수록 산은 점점 살이 홀쭉 빠져 수척해졌다. 나무 사이로 하늘이 환한 얼굴을 드러내었다. 얼마 남지 않은 나뭇잎이 툭툭 떨어지며 가는 길을 재촉하였다. 햇살이 안개를 걷어내자 산이 삐죽 모습을 드러냈다. 골바람이 불어오는 줄도 모르고 어깨를 다 드러내었다. 그제사 깊히 감추었던 산 속 깊은 정원이 나타났다. 깊어가는 가을 / 진관사 입구 북한산 주봉들 / 향로봉에서 비봉 북한산 진흥왕순수비 / 비봉 비봉에서 북한산 주봉들과 사모바위 / 비봉에서 비봉 바윗길로 내려오는 산꾼 사모바위 가을 행장..